팝업이 차단되었습니다. 팝업을 보시려면 브라우저 설정에서 팝업을 허용하고 다시 시도해 주세요.
닫기
대한민국 국회
국회도서관
로그인
사이트맵
English
검색
기본검색
검색
키워드
검색
국회도서관
의회정보
법률정보
발간자료
의회지원서비스
안내
의회정보
국회의원 정책자료
싱크탱크 보고서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가전략정보포털
법률정보
외국법률
외국법률번역DB
주요국 입법동향
세계법률가이드
국내법률
국가법령정보
입법예고
판례
의안·회의록
국회의안정보
국회회의록
최신동향
법률뉴스
신착법률도서
발간자료
팩트북
최신정책정보
Data&Law
Data+
최신외국입법정보
최신외국정책정보
World&Law
의회지원서비스
의회법률정보조사
소개
AI-DATA
입법과 통계
지능형 법률검색
WEB-DB
법령DB
의회DB
신문DB
학술DB
동영상 강의
안내
소개
법률정보사이트
최신 소식
메일링 신청
법률정보센터 이용 안내
Open API
검색어 입력
상세검색
법률주제검색
상임위별 검색
대한민국 국회
국회도서관
로그인
사이트맵
English
의회정보
국회의원 정책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가전략정보포털
싱크탱크 보고서
법률정보
외국법률
외국법률번역DB
주요국 입법동향
세계법률가이드
국내법률
국가법령정보
입법예고
판례
의안·회의록
국회의안정보
국회회의록
최신동향
법률뉴스
신착법률도서
발간자료
팩트북
Data+
최신외국정책정보
최신정책정보
최신외국입법정보
World&Law
Data&Law
의회지원서비스
의회법률정보조사
소개
AI-DATA
입법과 통계
지능형 법률 검색
WEB-DB
법령DB
의회DB
신문DB
학술DB
동영상 강의
안내
소개
최신소식
법률정보센터 이용 안내
법률정보사이트
메일링 신청
Open API
검색어 입력
검색
상세검색
법률주제검색
상임위별 검색
상세검색
전체
국회의원 정책자료
싱크탱크보고서
외국정책사례
국회·국회의원보도자료
외국법률번역DB
주요국 입법동향
입법예고
국회회의록
팩트북
최신외국입법정보
Data&Law
법률뉴스
법률쟁점DB
외국입법례
법률문헌_소장
법률문헌_외부
THE 현안
현안 외국에선?
국외현안리포트
전체
자료명
법률명
저자(번역자/발언자)
발행자
내용
키워드
AND
OR
전체
자료명
법률명
저자(번역자/발언자)
발행자
내용
키워드
AND
OR
전체
자료명
법률명
저자(번역자/발언자)
발행자
내용
키워드
AND
OR
전체
자료명
법률명
저자(번역자/발언자)
발행자
내용
키워드
AND
OR
전체
자료명
법률명
저자(번역자/발언자)
발행자
내용
키워드
AND
OR
전체
자료명
법률명
저자(번역자/발언자)
발행자
내용
키워드
AND
OR
전체
자료명
법률명
저자(번역자/발언자)
발행자
내용
키워드
AND
OR
연도
상임위원회
전체
국회운영
법제사법
정무
기획재정
교육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
외교통일
국방
행정안전
문화체육관광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
보건복지
환경노동
국토교통
정보
여성가족
검색
초기화
법률주제검색
대주제
검색
중주제
검색
소주제
검색
상임위별 검색
국회운영
법제사법
정무
기획재정
교육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
외교통일
국방
행정안전
문화체육관광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
보건복지
환경노동
국토교통
정보
여성가족
Home
의회정보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의회정보
국회의원 정책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가전략정보포털
싱크탱크 보고서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이재명 대표의 돌고 돌아 또다시 꺼내든 ‘기본’과 ‘개헌’. 사법리스크 모면을 위한 잔꾀일 뿐이다.[국민의힘 양금희 수석대변인 논평]
보도일
2023. 1. 12.
구분
정당
기관명
국민의힘
오늘 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기자회견은 늘 그래왔듯 일방통행식 주장만이 가득했다.
‘국민의 오늘을 지키고 나라의 내일을 바꾸겠다’ 했지만 ‘협치’ ‘협력’ ‘상생’이라는 단어는 그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은 채 오로지 민주당식, 이재명식으로 바꾸겠다는 일방선언이나 다름없었다.
이재명 대표에게 제기된 혐의에 대한 정당한 수사 과정을 두고 ‘야당 말살 책동’이라는 변함없는 인식은 물론이거니와,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 윤석열 정부의 노동·연금·교육 3대 개혁에 대해서도 비협조적인 언행을 여실히 드러냈다.
게다가 이재명식 전형적인 포퓰리즘의 대명사 ‘기본사회’ ‘기본소득’의 주장은 대선과 지방선거, 지난 9월 교섭단체 대표연설 등 돌고 돌아 또다시 등장했다.
국민적 공감, 사회적 합의가 전제되어야 함에도 또다시 불쑥 꺼냈다. 천문학적인 재원이 소요되며 미래세대에 부담으로 넘겨질 것임이 너무나 명백하다.
민생경제 위기 돌파를 위해 들고나온 3대 해법 또한 마찬가지다. 30조 규모의 긴급 민생 계획을 제안했지만, 현실적인 재원 마련 방안은 어디에도 없이 무책임하게 ‘막대한 재정’의 필요성만을 나열하기 바빴다.
그저 이재명식 포퓰리즘을 위해 재원 마련은 정부가 알아서 하라는 협박이자, 무책임의 극치다.
이재명 대표의 재탕 삼탕 주장인 ‘개헌’역시 새로울 것 하나 없다.
‘기소할 것이 명백하다’는 자신의 현실 앞에서 어떻게서든 정국의 주도권을 확보해 움켜쥐고선 ‘개헌 블랙홀’ 소용돌이로 끌어들여 사법리스크를 희석시키기 위한 포석일 뿐이다.
국민께 거듭 의견을 구하고 여론을 수렴해 치밀하고도 면밀한 논의가 선행되고 나서 신중히 준비해 가야 하는 것이 ‘개헌’이다. 개헌이 한 개인의 사법리스크를 모면하고 존재감을 알리기 위한 도구가 되어서는 안 된다.
새해 야당 대표의 기자회견에 일말의 기대감을 가지고 지켜보셨을 국민께 여전히 실망감만 안겨드렸다. 검찰에서는 유구무언, 카메라 앞에서는 일장연설인 이재명 대표에 국민들은 불신과 개탄을 금치 못할 것이다.
먼저 자신의 각종 범죄 의혹에 대한 사과와 반성 그리고 명백한 진실을 밝히는 것이 순서이자 국민에 대한 도리이다.
2023. 1. 12.
국민의힘 수석대변인 양 금 희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