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이 차단되었습니다. 팝업을 보시려면 브라우저 설정에서 팝업을 허용하고 다시 시도해 주세요.
닫기
회사 허락 없이 고객사은품인 머그컵을 무단 반출했다는 이유로 직원을 해고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다.서울행정법원 행정3부(재판장 최수진 부장판사)는 7월 26일 A 사가 중앙노동위원회를 상대로 제기한 부당해고구제 재심판정취소 소송(2023구합79739)에서 원고 패소 판결했다.자동차 구입·판매업체인 A 사는 2023년 2월 징계위원회를 열고 2014년부터 근무해 온 직원 B 씨의 해고를 결정했다. A 회사는 △고객사은품인 머그컵 세트 5개와 달력 1개를 무단 반출한 점 △회사의 재산에 손실을 입히고 업무수행에 지장을 준 점 △고객 응대 업무에서 배제되었음에도 지시를 불이행한 점 등을 근거로 B 씨에게 해고를 통보했다.B 씨는 부당해고를 주장하며 충남지방노동위원회에 구제를 신청했다. 2023년 4월 충남지방노동위원회는 "징계사유가 정당하지 않다"며 B 씨의 구제신청을 인용했다.A 사는 이에 불복해 중앙노동위원회에 재심을 청구했으나 중노위는 "머그컵 세트 무단 반출은 정당한 징계사유에 해당하지만 그 외 사유는 징계사유로 인정되지 않고, 징계 수위가 너무 무겁다"며 A 회사의 재심 신청을 기각했다. 이에 불복한 A 사는 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그러나 법원 역시 A 사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재판부는 "A 사의 취업규칙에 따르면 허가 없이 회사 물품을 외부로 반출하는 행위는 금지되어 있어 B 씨가 머그컵 세트 5개를 허락 없이 무단으로 반출한 것은 회사 규칙을 위반한 행위로 볼 수 있다"며 "무단 반출로 머그컵 세트 증정이 한 달가량 지연되면서 회사 업무에도 일정 부분 지장이 발생한 점은 인정된다"고 판단했다.다만 "B 씨가 고객들에게 머그컵 세트 5개 중 2개를 이미 증정했고 나머지 3개도 고객에게 증정하기 위해 가지고 있다가 회사에 반환했으므로 불법 취득 의사가 있었다고 보기는 어렵다"며 "A 사가 B 씨를 절도로 고소한 형사사건에서도 혐의없음의 불기소 결정이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이어 "B 씨가 달력 4개를 서비스 어드바이저에게 알리고 반출한 점에서 무단 반출로 보기 어렵고, 달력은 고객 증정을 위해 충분히 확보된 상태였다"며 "또 B 씨가 2021년 9월부터 고객 응대 업무에서 배제되기는 했지만 고객을 전혀 만나지 말라는 지시는 없었고, B 씨는 2014년부터 약 7년간 서비스 어드바이저 업무를 맡아 상당수 친분이 있는 고객이 있었을 것이어서 B 씨에게 기존 고객들에 대한 고객 관리 행위를 하는 것까지 회사가 문제 삼는 것은 지나친 조치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재판부는 "머그컵의 재산적 가치와 B 씨의 반출 의도, A 사의 업무수행 지장 정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머그컵 세트의 무단 반출은 징계 사유가 될 수 있으나 이를 이유로 해고하는 것은 과중한 조치"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