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임 : 시간강사 : 비전임교원(시간강사 외) = 38% : 41% : 21%
대학(4년제 기준) 시간강사 연봉, 교수급 연봉의 1/14
❏ 우리나라 대학은 국립과 사립을 막론하고 교원의 절반 이상을 시간강사를 비롯한 비전임교원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전체 대학교원의 60% 이상이 비전임교원이며, 이 가운데 시간강사가 전임교원보다 더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 같은 결과는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유은혜의원(새정치민주연합, 경기 고양 일산 동구)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2013년 4년제 대학 및 전문대학 교원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드러났다.
❏ <표1>에 따르면, 4년제 대학 및 전문대학 전체교원 19만 9,024명 중 전임교원은 7만 6,380명으로 38.4%에 불과하고, 비전임교원이 12만 2,644명으로 전체 교원의 61.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년제 대학의 경우, 전체교원 15만 4,356명 중 6만 3,500명(41.1%)이 전임교원이며, 비전임교원이 9만 856명으로 58.9%를 차지했다. 전문대학에서 비전임교원이 차지하는 비율은 이보다 더 높아서 전체 교원의 71.2%(3만 1,788명)가 비전임교원이다.
❏ 비전임교원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시간강사다. 4년제 대학 및 전문대학 전체 교원 가운데 시간강사가 차지하는 비중은 40.8%(8만 1,300명)로 전임교원이 차지하는 비중 38.4%(7만 6,380명)보다 크다. 4년제 대학의 경우 시간강사는 5만 9,531명(38.6%)으로 전임교원 6만 3,500명(41.1%)보다 다소 적은 편이나, 전문대학은 시간강사가 2만 1,769명(48.7%)으로 전임교원(1만 2,880명, 28.8%)보다 1.7배 많다. 전문대학은 특성상 겸임교원이 차지하는 비중도 4년제 대학보다 높다. 전문대학에 재직중인 겸임교원은 8,523명으로 전문대학 전체 교원의 19.1%를 차지했다.
「이하 생략」
※첨부파일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