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뉴엘과 유사한 기업 상당수
- 강소기업 인증제도 재점검해야
지난 22일 모뉴엘의 법정관리 소식이 알려지면서, 금융계에서는 손실 계산기를 두드리기 시작했다. 특히 한국수출입은행은 1,136억원(모뉴엘의 해외수입자 여신 포함)이 전액 신용여신으로만 모뉴엘 관련기업에 지급되어 있어 피해가 고스란히 국민에게 돌아갈 전망이다.
새누리당 심재철 의원(안양 동안을, 기재위)이 모뉴엘을 포함한 24개 히든챔피언(강소기업)의 재무제표와 영업보고서를 모두 검토한 결과, 모뉴엘과 같은 부실징후를 보이는 기업과 수출실적 조작 의심이 있는 기업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히든챔피언이란 한국수출입은행이 기술력과 성장잠재력이 높은 중소·중견기업을 육성대상기업으로 선정한 후, 금융·비금융서비스를 지원하여 세계시장을 선도하는 한국형 강소기업으로 육성하고자 하는 정책금융의 핵심전략이다.
2억불 수출탑 받은 기업이 3억불 히든챔피언 기준 통과
2012년 제1차로 히든챔피언 인증을 받았던 기업 중에서 수출실적이 의심스러운 곳이 발견되었다.
히든챔피언으로 인증받기 위해서는 육성대상기업으로 선정된 후 1년 이상 경과되어야 하고, 수출 3억불 이상이고 세계시장 점유율 5위 이내 제품을 보유하거나 매출 1조원 이상이고 수출비중 50% 이상인 기업이어야 한다.
A기업은 해당 제품이 세계시장순위 5위 이내에 들었기 때문에 시장점유율 조건은 충족했지만, 3억불 이상 넘어야 하는 수출실적에서 실적조작 의혹이 발견되었다.
A기업의 수출실적이 두 가지 다른 것이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하나는 한국수출입은행이 다른 히든챔피언 기업 실적과 함께 내부적으로 정리해놓은 A기업의 수출실적이고, 다른 하나는 A기업의 영업보고서 및 히든챔피언 인증을 받기 위해 수출입은행에 제출한 자료에 기재된 수출실적인데 두 가지가 달랐다. 수출입은행이 A기업으로부터 수출실적을 제출받고 별도로 수출실적을 산출했다는 얘기가 된다.
「이하 생략」
※첨부파일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