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의회정보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정치적 시류에 편승해 학과 운영하는 대학들

    • 보도일
      2014. 10. 27.
    • 구분
      국회의원
    • 기관명
      윤관석 국회의원
○ 박근혜 대통령은 ‘통일대박론’을 핵심 국정과제로 내세며 행복한 통일 시대의 기반을 구축하겠다고 밝힘. 이에 교육부는 올해 2월 통일․안보교육 추진 방안을 발표함.
- 올해 1월 남북 고위급 접촉이 있은 후 남북관계 개선, 상호 비방․중상 중단, 이산가족 상봉 등 2개 사항에 합의했고 8월 11일 북한에 2차 남복 고위급 접촉을 제의한 바 있음.

○ 최근 6년여 동안 냉각됐던 남북 관계가 해빙될 조짐이 보여 대학가에서는 ‘통일’과 ‘북한’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
- 숭실대는 ‘숭실평화통일연구소’를 4월에 개소했고, 학부 과정에 ‘한반도 평화와 통일’과목을 교양 필수과목으로 지정함.
- 건국대는 ‘통일인문학’ 과정을 대학원에 신설해 석․박사과정 신입생을 모집함.
- 경희대는 전공과 무관하게 이수해야 하는 교양교육과정인 후마니타스칼리지에 ‘북한의 이해’라는 과목을 신설함.
- 성균관대는 대학원 과정에 ‘남북한 관계 연구론’ 수업을 개설할 것으로 밝혀짐.

○ 이러한 현상은 이명박 정부에서 북한학과가 경쟁력이 없다는 이유로 폐지되며 내리막길을 걸었던 것과는 상반됨.
○ 대학에서 분단의 현실을 고민하고, 통일에 대한 학문적 노력을 기울이는 것에 매우 바람직하다고 생각함. 그러나 ‘통일’과 ‘북한’에 대한 대학의 관심이 정치적인 판단에 의한 일시적 현상이 아닐지에 대한 우려가 있음.

○ 1990년대 중반 탈냉전 분위기를 타고 ‘북한학과’신설이 확산됐었음.
- 1994년 동국대, 1995년 명지대, 1996년 관동대, 1997년 고려대, 1998년 조선대․선문대 등이 학부 과정에 북한학과를 신설했음.

「이하 생략」
※첨부파일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