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정책정보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민 10명 중 1명꼴로 1년 이내 식품 관련 피해 경험

    • 보도일
      2014. 10. 27.
    • 구분
      국회의원
    • 기관명
      박민수 국회의원
- 식품 피해 중 32%는 안전과 직결되는 이물질 혼입 - - 피해 발생에도 귀찮다는 이유로 그냥 지나치는 경우가 태반 - 새정치민주연합 박민수 의원(진안·무주·장수·임실)이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발행한 ‘2013 식품소비행태조사 통계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1명은 1년 이내 식품과 관련한 피해를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욱이 전체 피해 사례 중 32%는 소비자 안전과 직결된 이물성상에 따라 치명적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이물질 혼입 피해인 것으로 나타나 그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유형별로 이물질 혼입보다 많은 피해 사례는 48.6%를 나타낸 품질불량 뿐이다. 특히 이물질 혼입 피해 사례는 성인층(32.0%) 보다 청소년층(46.6%)에서 높은 비중으로 나타났는데, 성인층에서도 연령대별로 20대가 44.4%로 13.6%를 나타낸 50대에 비해 3배 이상 높게 나타남에 따라 저 연령대일수록 이물질 혼입에 따른 피해사례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피해를 입은 식품의 종류별로는 농산물에 의한 피해사례가 33.9%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외식(19.5%), 가공식품(18.8%), 수산물(18.4%), 배달음식(14.9%)의 순이었다. 반면 청소년층에서는 가공식품이 가장 높은 53.0%를 차지해 압도적으로 높은 비중을 나타냈으며 다음으로 배달음식이 16.9%의 수치를 나타냈다. 이런 피해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음에도 피해 발생 시 처리방법으로는 그냥 지나쳤다는 응답이 48.6%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구입처에 불만제기 37.4%, 생산자 또는 업체에 불만제기 15.9% 등의 순이었다. 식품 피해 발생 시 신고를 하지 않은 이유로는 귀찮아서라는 응답이 59.9%로 가장 많았고 상담해도 해결되지 않는다고 생각해서 32.0%, 어디에 상담해야 좋을지 몰라서 13.9%, 시간이 걸려서라는 응답은 13.3% 등이었다. 박 의원은 “식품으로 인한 피해를 겪는 사람이 10명 중 1명꼴로 나타난다는 것은 현 식품안전관리의 문제점이 있다는 반증임에도 본연의 관리에는 소홀한 채 불량식품 근절만 외치는 정부의 자세는 비정상적이다”라고 지적하고 “현 정부가 주장하는 것처럼 식품 현안은 국민들에게 가장 중요한 문제인 만큼 국민들의 요구에 따라 현재 관리에 문제점 없는 지 지속적으로 반문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