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의회정보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 맨아워(M/H)지수가 HPV지수로 둔갑 “ 의혹

    • 보도일
      2012. 10. 4.
    • 구분
      국회의원
    • 기관명
      김경협 국회의원
김경협, “생산성지수 조작을 통한 정리해고, 국정조사 필요”

쌍용자동차가 2009년 2,646명의 정리해고 대상자를 산정한 근거로 사용한 생산성지수인 HPV(Hour Per Vehicle)지수는 아예 존재하지 않았으며, 회사의 맨아워(M/H)지수를 대체사용한 것에 불과하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김경협 의원(민주통합당·부천원미갑)은 최근 쌍용자동차로부터 제출받은 <연도별 HPV 현황>자료와 지난 9월20일 쌍용자동차 청문회 당시 제출받은 <조립라인별 M/H지수> 그리고 2009년 정리해고 당시 삼정KPMG가 작성한 <회사 정상화방안(정리해고방안)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2009년 정리해고 당시 쌍용차는 근로자들의 낮은 생산성을 주장하고 그 근거로 쌍용차의 HPV지수와 타 회사(현대,기아,포드,도요타,혼다)의 HPV지수를 비교 제시하였지만, 분석결과 2009년 당시는 물론 현재까지 쌍용차는 HPV지수를 아예 관리하지 않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쌍용차가 HPV지수를 아예 산정(관리)하지 않고 있는 증거로 △ 최근 6~7년간 쌍용차의 HPV지수와 M/H지수가 동일한 점(별첨1 참조) △ 최근 쌍용차가 김 의원실에 제출한 <연도별 HPV 현황>에서는 HPV 산출 계산식을 ‘관련부문 투입 공수(인원수) ÷ 생산량’으로 계산하고 있는데, 이는 HPV 산출 계산식(작업자의 생산투입시간÷생산량)이 아닌 맨아워 지수 산출 계산식이라는 점 (별첨2 참조) △ <조립라인별 HPV>의 계산단위를 ‘M/H(맨아워)’ 로 표시하고 있는 점을 들었다.(별첨3 참조)

※ 지난 9월20일 쌍용차 청문회에서 김경협 의원은 “쌍용차가 2009년 2,646명의 정리해고 당시 <회사 정상화방안보고서>에 제시된 HPV지수는 올리버와이먼사가 발행하는 <하버리포트>에 기재되지 않은 조작된 생산성지수”라고 주장하였고, 이에 대해 회사는 “해당 HPV지수는 <하버리포트>에 기재된 공인된 HPV지수는 아닌 것은 맞다”고 확인했고, “단 해당 HPV지수는 회사가 자체적으로 산정한 것”이라고 진술한 바 있음.

김 의원은 “지난 9월 20일 쌍용차 청문회에서 2009년 정리해고 당시 회사가 제시한 생산성 지수가 국제적 전문기관에 의해 공인된 지수가 아니라는 점이 확인되었고, 그에 대해 쌍용차에서는 ‘회사가 자체 산정한 HPV지수’라고 주장했지만, 이마저도 거짓이라는 점이 확인된 것”이라고 밝히고, “쌍용차에는 HPV지수가 아예 존재하지 않았으며, 맨아워(M/H)지수를 대체사용한 것”이라며 생산성 지수 조작 의혹을 주장하였다.

아울러 김 의원은 “이는 쌍용차 정리해고의 정당성에 중요한 흠결이 있다는 점이 입증된 것”이라고 말하고, “이미 의혹이 제기된 회계조작 문제와 함께 생산성지수 조작 의혹에 대해서도 전면적인 국정조사를 통해 진실을 규명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HPV는 단순히 작업자의 작업시간을 중심으로 파악하는 생산성 지수임. 생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공장시설의 자동화 정도, 부품의 모듈화(외주화)정도를 반영하지 못함. 따라서 특정 공장에서 작업자의 작업시간 변화추이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며, 생산품종(예:일반승용차와 SUV), 공장시설의 자동화 정도, 부품의 모듈화 정도가 서로 다른 공장간의 작업시간을 비교할 수 없음.  

별첨 1. - 쌍용자동차의 연도별 HPV와 M/H 비교 (종합)
별첨 2. - 쌍용자동차가 제출한 <연도별 HPV 현황> (연도별)
별첨 3. - 쌍용자동차가 제출한 <조립라인별 HPV> (연도별, 월별)
별첨 4. - 쌍용자동차가 제출한 <조립라인별 맨아워> (연도별, 월별)
별첨 5. - 쌍용자동차(삼정KPMG)가 청문회에서 ‘HPV지수에 오류가 있더라도 이는 정리해고의 정당성과 상관없다’는 주장에 대한 김경협 의원의 반론

참조) 자동차산업 생산성 지수 관련 전문가  (인터뷰시 참조)
     -  이종탁 (한국산업노동정책연구소 선임연구위원) 010-3308-9834

※표: 첨부파일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