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원실 자체 설문조사 결과, 플랫폼 사업 내용이 지역의 수요와 역량을 잘 반영하고 있다 71.2% - 윤 의원, 지역대학이 지역혁신의 주체가 되는 지역혁신플랫폼, 전국으로 확대해야
윤영덕 의원실이 자체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광주전남 지역혁신플랫폼의 응답자 20% 이상이 ‘소통이 안 되고 있다’고 답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충북 1.7%, 울산경남 4.7%에 비해 높은 수치다. *설문대상 : 충북 58명, 경남 65명, 광주전남 111명 (플랫폼 관계자 / 무기명) *설문기간 : 2021. 8. 5.(목) ~ 23.(월) / 19일 간
국회 교육위원회 윤영덕 국회의원(광주 동남갑, 더불어민주당)은 19일 국립대학교 및 국립대학교병원 대상으로 한 국정감사에서 “지자체와 대학, 그리고 대학이 선명한 공동목표를 가지고 삼각편대가 되어 소통하고 협업하는 게 지역혁신플랫폼의 성공여부를 가르는 핵심이다”고 말했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광주전남 지역혁신플랫폼 사업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응답자 74.8%가 높은 공감도를 보였다. 또한, 71.2%가 사업내용이 우리 지역의 수요와 역량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답했다.
협업시 애로사항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광주전남은 ‘소통 부재’, 충북은 ‘참여대학간의 협력’, 울산경남은 ‘사업수행기관 간 협력’을 꼽았다.
‘지역혁신플랫폼 사업의 성공적인 결과를 위해 개선해야 할 부분은 무엇인가’ 질문에 광주전남의 경우, ‘인력충원과 지자체-대학-기업 간 협력 및 공동목표설정’을, 충북은 ‘참여기관 간 협력과 다양한 프로그램 연계’를, 울산경남은 ‘구체적인 사업추진 내용과 취업 연계 기업의 확대’를 꼽았다.
윤영덕 의원은 “지방이 어렵고 지방대가 위기다”며 “지역거점 국립대학교 총장은 지역공동체의 생존과 발전을 위해서 무거운 책임감을 갖고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역대학이 지역혁신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며 “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 지역혁신 플랫폼사업의 전국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성택 전남대학교 총장은 “광주전남사업플랫폼 1차년도에 소통이 부족한 부분은 적극 개선하겠다”며 “지역혁신플랫폼은 전국으로 확대할 필요성에 적극 공감한다”고 답했다.
한편, 교육부가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수도권을 제외한 전국 14개 시도로 지역혁신플랫폼을 확대시 연간 3,240억 원의 예산이 소요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끝>
첨부파일
20211020-광주전남 지역혁신플랫폼...10명 중 2명이‘소통 안 되고 있다’ 답해.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