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의회정보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회색코뿔소 리스크인 ESG·RE100, 범부처적 대응 필요

    • 보도일
      2019. 10. 2.
    • 구분
      국회의원
    • 기관명
      변재일 국회의원
- 환경·사회적책임 등 ESG 고려 없이 더 이상 경제발전 어려워
- 비재무적요소의 위협, 다가온 위기를 인식하고 정부 대응 서둘러야

변재일 의원(더불어민주당,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은 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국정감사에서 정부가 ESG와 RE100 리스크에 적극 대응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세계적인 투자의 방향이 지속가능경영을 유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ESG와 RE100의 영향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제도적인 지원에 적극 나서야한다는 것이다.  

세계적으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윤리적인 기준과 가치를 고려하는 투자 분위기가 확대되며 ESG 투자에 대한 관심 또한 커지고 있다. ESG란 Environment, Social Responsibility, Governance의 앞 글자를 따온 것으로 사회적 책임, 환경 그리고 지배구조까지 고려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분석한 글로벌지속가능투자연합(GSIA)의 보고서 에 따르면, 유럽, 미국, 일본,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의 책임투자 규모는 2014년 17.7조 달러에서 2018년 30.7조 달러로 73.5%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주요 자본시장 책임투자 규모

  ※ 표 : 첨부파일 참조

한편 기업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재생에너지로 100% 공급받자는 RE100(Renewable Energy 100%)은 캠페인 또한 투자에 있어 중요한 고려 대상으로 떠오르고 있다.

현재 190여 개 기업이 RE100 캠페인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애플을 비롯한 26개 기업은 신재생에너지를 100% 활용하여 생산할 수 있도록 에너지 사용 전환을 완료한 상태이다.

ESG와 RE100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 경쟁요소로 작용하여, 앞으로 영향력이 커질 것으로 예측된다.

일례로, 노르웨이의 최대 공적자금인 KLPI는 석탄 관련사업이 매출의 5% 이상을 차지하는 기업에 대한 투자를 철회했고, 뉴욕시정부는 화석연료기업에 투자 중인 연기금 50억불을 5년 내로 철회할 계획을 세웠다고 한다.

변 의원은, “세계적인 추세와 달리 우리나라는 정부의 ESG와 RE100에 대비가 부족하고, 기업들 또한 이에 관한 관심도가 낮은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비재무적 요소인 지배구조, 환경오염물질 배출, 소비자 정보 보호 등이 이제는 기업 이미지와 수익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리스크이자 거스를 수 없는 트랜드가 되었지만, 대다수의 기업들이 애써 외면하고 있다는 것이다.

변 의원은 “회색 코뿔소란 지속적인 경고로 충분히 예상할 수 있지만 쉽게 간과하는 위험 요인을 의미한다”며 “우리는 지금 우리 곁에 다가온 ESG와 RE100의 다가온 위협을 알고 있으면서도 애써 외면하고 있는 건 아닌지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또한 변 의원은 “이미 눈앞에 다가온  ESG와 RE100라는 거대한 리스크에 대해 부처차원이 아닌 정부 차원의 강력한 대응이 필요하다”며,“부처차원에서도 과학기술과 정보통신분야에서 어떤 역할이 필요한지 고민하고 대응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