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완수 이사장은 사과하고 책임져라”
○ 한국언론진흥재단(이하 언론재단)이 취재윤리 위반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MBC를 수년 간 편파 지원해온 것으로 밝혀짐
○ 언론재단은 지난 2020년부터 심층적인 방송영상 뉴스콘텐츠를 발굴하고 보도 지원을 한다는 취지로 <방송영상기획취재지원사업>(이하 취재지원사업)을 시작함
○ 그런데 당초 취지와 달리 취재지원사업은 방송사에 골고루 지원되지 않고 MBC에 편향되어 집중 지원되어온 것으로 확인됨. 2020년 언론재단이 지원한 방송은 총 8건인데 이중 MBC가 2건(25%)이었고, 2021년에는 23건 중 9건(39.1%)이 MBC였음. 올해에는 24건 중 15건(62.5%)이 MBC에 지원되었음. 이런 식으로 지난 3년간 언론재단은 총 55건 가운데 47.3%인 26건을 MBC에만 지원했음
< 3년간 총지원 건수 대비 MBC 지원 건수>
○ 지방 방송사에는 MBC 편파 지원이 더욱 노골적임. 2020년 이후 선정된 지방 방송사의 취재지원사업 34건 가운데 25건(73.5%)이 지방 MBC였음. 선정작 10건 중 7건이 지방 MBC이었던 것. 언론재단의 공정한 심사를 믿고 취재지원사업 공모에 참여한 다수의 방송사가 사실상 들러리였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임
< 3년간 지방 방송사 총지원 건수 대비 지방 MBC 지원 건수>
○ MBC는 최근 김건희 여사 대역 미고지를 비롯해 자사 기자와 PD의 경찰 사칭 등으로 심각한 취재윤리 위반으로 비판 받고 있는 언론사임. 그럼에도 언론재단이 MBC에 공모사업을 몰아주는 것은 애초 공모사업의 목적이 정치적이었다는 것 외에는 설명이 불가능함
○ 이러한 배경에는 언론재단 표완수 이사장이 있음. 표 이사장은 2021년 취임 1년을 맞아 “팩트와 주장을 혼동하지 않는 가치 있는 기사를 쓰는 언론을 지원하겠다”, “지역 중소 언론을 지원하겠다”고 공언했지만 지난 3년간 언론재단의 행보를 보면 그 반대였음
○ 표 이사장은 문재인 정부의 두 번째 대통령비서실장인 노영민 전 국회의원과 고등학교 동문 사이이고, 문재인 정부 출범 초기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후보(2019.8월)에 오를 만큼 대표적인 친문 언론인임
○ 황보 의원은 “다수의 언론사를 들러리로 세우고 반복적으로 취재윤리를 위반한 MBC를 편파 지원한 것은 언론재단 설립 취지에 맞지 않다”며 “표 이사장은 이에 대해 언론과 국민에게 사과하고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말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