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루나-테라 사태 당시, 5대 가상자산 거래소 100억 원 이상 거래수수료 챙겨
- 상장폐지된 코인 318개 중 단독상장됐다 폐지된 코인 215개 달해, 상장폐지 거래수수료만 6,277억원
- 제휴은행 수수료 수익, 업비트와 제휴한 K-BANK가 292억원으로 가장 많아
- 윤영덕 의원, 금융당국 투자자 보호 등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가이드 라인 명확히 내려야
국내 5대 가상자산거래소 고팍스, 빗썸, 업비트, 코빗, 코인원으로 구성된 디지털자산 거래소 공동협의체(Digital Asset eXchange Alliance, 이하 DAXA)가 더불어민주당 윤영덕 국회의원(광주 동구남구갑, 국회 정무위원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루타-테라 사태로 5대 거래소가 벌어들인 수수료는 86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거래소별 수수료를 보면, ▲업비트 6,277,169,317원(239.13025970 BTC) ▲빗썸 1,956,060,563원 ▲코인원 373,000,000원 ▲코빗 17,640,000원 ▲고팍스 0원이다.
단, 업비트 수수료(62억)는 22년 9월 21일 기준 BTC를 적용한 금액이기 때문에, 루나 거래 지원종료가 이뤄진 5월 20일 기준 BTC를 적용하면 90억이 된다. 따라서, 당시 기준 5대 거래소가 벌어들인 수수료 합은 100억을 넘는다.
루나-테라 사태 당시, 거래소별로 각기 달랐던 거래종료일도 문제다. 5대 거래소의 유의종목 지정일은 5월 10일, 5월 11일로 유사하다. 단, 거래종료일은 업비트가 5월 20일인 반면 코빗은 6월 3일로 무려 14일 차이가 났다. 가상자산의 상장과 상장폐지 여부는 각 가상자산거래소에서 결정하기 때문이다.
루나-테라 사태가 터진 지 4개월이 지났지만, 5대 거래소가 챙겼던 거액의 수수료 활용 방안도 제각각이다.
9월 21일 업비트에서 윤영덕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업비트는 사태가 터진 직후 5월 31일, 루나-테라 사태로 발생한 수수료 전부를 투자자 지원에 활용하기로 결정했고 별도의 자문위원회를 통해 4번의 회의를 거쳤다고 답했다. 이후 업비트는 9월 30일, 공익단체 기부 및 디지털 자산 시장 모니터링 센터를 설립하겠다는 보도자료를 냈다. 사태가 터진지 무려 4개월이 지난데다 정무위원회 국정감사를 앞둔 시점이다.
나머지 4대 거래소의 수수료 활용방안을 보면, 빗썸은 투자자 보호를 위한 처분에 대해서 고려중이라는 답변을 제출했다. 코인원은 AML 시스템 강화 및 시스템 점검 등 제반사항에 투자하여 보이스피싱, 보안사고 예방 등 장기적으로 투자자 보호를 위한 곳에 사용하겠다는 답변을, 코빗은 올해 안에 대한법률구조공단에 가상자산 투자 피해자에 대한 법률구조사업지원을 위한 기부금으로 전액 전달 예정이라고 답했다.
윤영덕 의원은 “테라-루나가 일주일새 고점대비 99.99% 하락하며 천문학적 피해가 발생할 때조차 거래소는 수수료 수익을 올리고 있었다”며 “4개월이 지난 지금에야 국정감사를 앞두고 수수료 수익 환원방법을 발표한 건 시기가 참 공교롭다”고 질타했다. 이어, “이번 국감에서 거래지원종료(상장폐지)일이 14일 차이가 난 이유가 무엇인지, 각 거래소별 상장폐지 절차가 어떻게 작동되는지 면밀히 살펴볼 예정이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