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급식비 한끼 단가 7천원...외식비 지표상 먹을 수 있는 음식은 자장면, 김밥뿐
- 급식카드 가맹률 86.5%인 일반음식점 이용률(38.3%)이 가맹률 8.6%인 편의점 이용률(37.5%)과 비슷해
- 작년 광주시 광고‧행사운영비가 올해 시비로 집행한 급식비 예산(118억) 웃돌아
- 조의원,“강기정 시장 공언하신 두터움 돌봄 실현위해 급식비 현실화에 힘써주시길”
당부
국민의힘 조은희 의원(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서울 서초갑)은 20일 열린 광주광역시 국정감사에서 8%에 달하는 광주지역 외식비 인상률을 감안하면 올해 광주시 결식아동 급식비 7천원은 턱없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조 의원은 이날 국정감사에서 “광주시가 올해 1월 결식아동 급식비 단가를 1천원 인상했지만 현재 단가 7천원으로는 아이들이 자장면과 김밥 외에 제대로 된 한 끼를 갖춰 먹을 수 없다.”고 밝혔다. 한국소비자원 외식비 지표에 따르면 결식아동 한끼 급식비 7천원으로는 비빕밥(9,100원)과 김치찌개 백반(7,800원)은 물론 칼국수(8,000원) 역시 먹을 수 없다.
외식물가는 치솟는데 급식비 인상률은 현실과 괴리돼있어 아이들의 급식카드 사용처에도 제약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시의 경우 급식카드 가맹률이 가장 높은 곳은 일반음식점으로 86.5%에 달하지만 이용률은 38.3%로 가맹률이 8.6%에 불과한 편의점 이용률 37.5%와 큰 차이가 없다.
이에 조 의원은 “현실에 맞는 급식비 인상과 함께 급식카드 사용처를 다각화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이어 “지난해 광주시가 집행한 광고비와 행사운영비가 119억원 수준인데 이는 올해 시비로 편성된 결식아동비 지원예산 118억원을 웃돈다”고 지적하며 “강기정 시장께서 취임 100일 공언하신 두터운 돌봄의 실현을 위해 결식아동 급식비 현실화에 힘써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 참고자료:첨부파일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