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항공사 지연운항 4천여건 급증 전년대비 33%늘어, 운항 지연율 또한 5.5%로 최근 가장 높아 진에어 9.3%로 지연율 1위, 이스타, 제주, 아시아나 순
국내항공사의 지연 운항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 국내선은 예정시각보다 30분, 국제선은 60분 초과하여 이룩한 경우‘지연’
12일 한국공항공사가 국토교통위원회 새누리당 김희국 의원(대구 중남구)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3년 한해 동안 국내항공사의 국내선 지연운항 건수가 지난해 1만 2488건보다 4187건(약 33.5%) 증가한 1만 6675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운항 지연율 또한 5.5%에 이르러 최근 5년간 가장 저조한 것으로 드러났다.
※표: 첨부파일 참조
지연 운항 건수는 2012년 1만 2,488건으로 전년대비 소폭 감소하였으나, 2013면 4천여건이 급증했고, 올 들어서도 6월까지 이미 9천여건을 돌파, 이러한 추세가 이어질 경우 연말에는 운항지연건수가 1만 8천여건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운항 지연율 또한 6%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 지연 운항사유로는(2013년 기준) 우선 공항 혼잡에 따른 항공기 연결 지연(A/C접속)이 약 40%나 증가, 1만 4544건으로 가장 많았고, 태풍 및 폭우와 같은 기상이변에 따른 지연이 812건으로 그 뒤를 이었다. 기체결함 등에 따른 기술적 정비로(A/C정비) 인한 지연 또한 412건에 달했다
항공사별로는 저가항공사(LCC)의 운항 지연율이 높게 나타났다. 2013년 기준으로 진에어가 9.3%로 가장 높았고, 이스타 항공(8.6%)과 제주항공(6.8%)이 그 뒤를 이었다. 한편 대형항공사인 아시아나 또한 2011년 6.6%, 2012년 4.6%, 2013년 5.9%로 최근 3년간 상대적으로 높은 운항지연율을 보였다.
※표: 첨부파일 참조
김희국 의원은“항공기를 이용하는 국민의 입장에서 운항 지연은 보이지 않는 비용을 더 지불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라며, “여행수요가 확대되는 만큼 항공서비스 또한 이를 차질없이 뒷받침해야 함에도 지연 운항 건수가 속출하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하고,“면밀하게 사전 운항계획의 마련하여 승객의 불편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