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이란 친선협회 ‘UAE의 적은 이란’ 발언 관련 입장 발표
“충분히 해명하고 필요하다면 사과해 양국 관계 악영향 막아야”
한-이란 의원친선협회 회장을 맡고 있는 더불어민주당 김정호 의원(경남 김해시을)과 부회장 진성준 의원(서울 강서을)은 19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UAE(아랍에미리트)의 적은 이란' 발언과 관련한 협회 입장문을 발표하고 “윤 대통령의 발언은 한-이란 간 갈등의 불씨가 될 수 있다”며 “정부는 역지사지의 마음과 진솔한 자세로 이란 측에 충분히 해명하고 필요하다면 정중히 사과해야 한다”고 밝혔다.
입장문은 “윤 대통령의 발언이 지나친 단순화법과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하지 못한 데서 비롯된 것일지언정, 이란을 ‘UAE의 적’, 나아가 ‘한국의 적’이라는 의미로 정색하고 말하려 한 것은 아니었다고 믿고 싶다”며 진의가 이와 같다면 정부가 충분히 해명하고 필요하다면 사과해서 오해를 풀고 덧난 마음을 아물게 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긴밀한 우호 협력관계를 발전시켜 오며 올해 수교 61주년을 맞은 한-이란 관계에 이번 일이 악영향을 미친다면 큰 손실이라며 “이번 기회에 국내에 동결된 이란자금 문제의 해결, 국제 제재와 무관한 대이란 인도적 교역 확대 등 현안 해결을 위한 정부 차원의 실질적인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국회 차원에서도 양국 의원 간 교류 확대 및 정책지원 등 적극적인 의원 외교에 나설 것을 다짐한다”고 밝혔다.
김정호 의원은 “이번 일로 한국과 이란이 지금까지 이어온 선린 우호 관계를 해치지 않도록 친선협회 의원들이 완충 역할을 해야 되겠다는 취지에서 입장문을 급하게 준비했다”며, 협회 소속 의원 7명 중 더불어민주당 의원 4명과 무소속 1명은 동의하였으나 국민의힘 2명은 입장 발표에 동의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표명해왔다고 밝혔다.
※ 별첨 : 윤 대통령의 ‘UAE의 적은 이란’ 발언 관련 입장문
<윤 대통령의 ‘UAE의 적은 이란’ 발언 관련 입장문>
윤석열 대통령이 ‘아랍에미리트(UAE)의 적은 이란”이라 발언한 것을 두고 후폭풍이 거세다. 대통령실에서 “장병들을 격려하는 차원으로 한·이란 관계와는 무관하다”고 해명했지만 파장은 줄지 않고 있다.
윤 대통령의 발언은 자칫 UAE와 이란 관계에 대한 문제만이 아니라 우리나라가 이란을 '적'으로 여기고 있다고 오해를 불러일으켜 한-이란 간 갈등의 불씨가 될 수 있다.
실제로 이란 외교부 대변인은 윤 대통령의 발언을 중동국가 관계에 대한 ‘완전한 무지를 드러낸 것’이자 ‘외교적 타당성을 완전히 결여한’ ‘간섭하기 좋아하는’ 발언이라고 비판하였다. 최근 들어 한국 대통령의 발언에 외국이 이런 강도로 비판한 사례를 찾기 어렵지만, 그렇다고 이란을 탓할 수도 없다는 점에서 사태가 여간 심각한 게 아니다.
우리는 윤 대통령의 발언이 지나친 단순화법과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하지 못한 데서 비롯된 것일지언정, 이란을 ‘UAE의 적’, 나아가 ‘한국의 적’이라는 의미로 정색하고 말하려 한 것은 아니었다고 믿고 싶다.
이란과 UAE는 전쟁을 한 적도 없고 서로를 적으로 규정한 적도 없다. 최근 들어서는 두 나라 간에 평화로운 관계가 무르익어가고 있는 마당에, 제3국의 대통령이 불쑥 적으로 규정한다는 것은 너무나 어이없는 일이 아닐 수 없다.
더구나 UAE 주둔 한국군 장병들이 ‘UAE의 적인 이란’을 겨냥하고 있다고 오해받아 위험에 빠질 수도 있는데, 그런 위험천만한 내용을 윤 대통령이 작심하고 발언한 것이라고는 도저히 생각할 수 없는 일이다.
윤 대통령 발언의 진의가 이와 같다면 정부는 역지사지의 마음과 진솔한 자세로 이란 측에 충분히 해명하고 필요하다면 정중히 사과해야 한다. 그래야 오해를 풀 수 있고 덧난 마음을 아물게 할 수 있다.
올해는 한국과 이란이 수교한 지 61주년이 되는 해이다. 이란은 그간 우리나라의 '중동 최초 수교국'으로서 두터운 신뢰를 쌓아왔다. 1973년 석유파동 당시에도 산유국 중 유일하게 우리나라에 석유를 공급했고 한국에 ‘테헤란로’, 이란에 ‘서울로’라는 지명이 있듯이 긴밀한 우호 협력관계를 발전시켜 왔다.
미국의 대이란 제재에 따른 국내 이란 동결자금 문제로 그렇지 않아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이란 관계에 이번 일이 악영향을 미친다면 큰 손실이 아닐 수 없다. 이번 기회에 국내 동결 이란자금 문제의 해결, 국제 제재와 무관한 대이란 인도적 교역 확대 등 현안 해결을 위한 정부 차원의 실질적인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한-이란 관계의 회복과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정부가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을 요청하며, 국회 차원에서도 양국 의원 간 교류 확대 및 정책지원 등 적극적인 의원 외교에 나설 것임을 다짐한다.
2023.1.19.
한-이란 의원친선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