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가 어제 북한인권법 제정 후 7년 만에 ‘2023 북한인권보고서’를 공개했고, 그 내용에는 북한 사회의 참혹한 실상이 낱낱이 기록돼 있다.
김정은 정권에서는 미성년자에 대한 즉결 처형, 여성에 대한 성폭력, 장애인 격리 등 공권력을 이용해 인간의 존엄성을 짓밟는 행위들이 일상화됐다.
이토록 끔찍한 인권 유린의 참상은 왜 7년 만에 알려졌는가?
2016년 여야합의로 북한인권법이 제정되어 매년 보고서가 제작됐지만, 문재인 정권이 북한과의 관계를 의식해 이를 3급 기밀로 분류해 공개하지 않았던 것이다.
문재인 정권은 김정은 정권이 북한 주민의 인권을 핵무기와 맞바꾸는 반인권적 행태를 보이는데도 이를 감싸고 돌기만 했다.
지난 2020년에는 북한 인권단체가 하나원에 들어가 탈북민을 조사하는 것을 막기도 했다. 또 토마스 퀸타나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은 이례적으로 “북한 인권에 대한 논의 없이 이뤄진 평화는 북한 주민들에게 이익이 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인권변호사 출신 문재인 전 대통령은 겉으론 ‘사람이 먼저다’고 했지만, 정작 2600만 북한 동포들의 고통은 외면한 채 최악의 인권 유린자 김정은의 눈치만 본 것이다.
자유·인권·법치는 인간이라면 마땅히 누려야 할 자연권으로 그 어떤 체제, 제도 혹은 독재자 개인도 이를 빼앗을 수 없다.
윤석열 정부에서는 ‘가짜 평화’와 ‘북한 인권’을 맞바꾸는 행위는 결코 없을 것이다. 현재 김정은 정권에 의해 자행되고 있는 인권 유린 실태는 더 투명하게 밝혀져야 한다.
작년 유엔총회에서 윤석열 대통령은 “보편적 가치를 수호하기 위한 국제사회 연대를 선도하겠다”고 다짐했다. 국민의힘과 윤석열 정부는 이 다짐을 ‘북한 인권’을 지키는 것에서부터 시작하겠다.
2023. 3. 31.
국민의힘 수석대변인 강 민 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