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인회, “코로나19 시기보다 더 어려워, 상인들 더 이상 버티기 힘들어”
- 강득구 의원, “안양의 대표상권인 안양일번가지하상가 공실률 32%, 안양시가 인수대책 진지하게 마련해야”
강득구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양만안)은 11일(화) 오전 10시 40분, 안양시청 본관 앞에서 ‘안양일번가 쇼핑몰지하상가 존폐위기, 안양시의 책임있는 대책 마련 촉구 기자회견’을 했다
회견에는 강득구 의원을 비롯해 안양만안 지역구 도·시의원, 안양일번가지하상가쇼핑몰상인회 관계자 50 여명이 함께 참석했다.
오랜 시간 안양의 쇼핑과 유행의 중심지로 자리하며 대표 상권으로서 명성을 떨친 ‘안양일번가 지하상가’가 코로나19를 거치면서 존폐 위기에 처해있다는 위기감이 높아지면서. 공실률이 32%에 육박하며 코로나 이후 상권 회복에 비상이 걸렸다는 것이 강득구 의원을 비롯한 상인들의 의견이다.
이에, 강득구 의원은 기자회견을 열고 안양시의 책임있는 대책 마련을 강력하게 촉구했다. 강득구 의원은 “안양역지하상가의 상권이 무너지는 것은 만안구 상권 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엄청나다. 더 늦기 전에 안양시가 지하상가를 민간 투자회사로부터 인수받는 것까지 광범위하게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혔다.
한편, 일번가지하상가는 민자유치 지하상가라는 이유만으로 같은 공간안에 있는 중앙지하상가와 비교되는 관리비와 임대료를 내는 등 10여 년 전부터 여러 문제 해결을 위한 목소리가 지속되어 왔다. 상인회의 구자룡 회장은 “안양시민들의 통행로로 이용되는 공용부분에 대해 안양시는 공공요금의 분담‧지급에 매우 소극적”이라며 점포공간과 공용공간을 구분햐여 공용공간에 대해서는 당연히 안양시가 전기세, 수도세, 가스비 등의 공공요금을 분담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매년 소비자물가지수에 기반하여 지하상가의 임대료와 관리비 인상은 칸사스투자금융과 안양시의 협의를 통해 진행해오고 있다. 올해도 4.8%의 인상을 안양시가 승인한 상황이어서 상인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한편, 강득구 의원은 지난 주 5일에 안양시 관련부서, 칸사스투자금융, 안양쇼핑몰주식회사 및 안양일번가지하상가쇼핑몰상인회 임원, 그리고 장명희 시의원과 간담회를 갖고 지하상가 활성화 대책을 논의한 바 있다.<끝>
*첨부파일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