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는 국민투표 통해 연동형 비례대표제로 개편 비례성과 대표성 높아지고 다당제로 바뀌었다는 평가
보도일
2023. 5. 17.
구분
입법지원기관
기관명
국회입법조사처
뉴질랜드는 국민투표 통해 연동형 비례대표제로 개편 비례성과 대표성 높아지고 다당제로 바뀌었다는 평가 □ 국회입법조사처(처장 박상철)는 2023년 5월 17일(수), 「뉴질랜드 의회 선거제도」를 다룬 『이슈와 논점』을 발간함 ○ 본 보고서는 뉴질랜드의 선거제도 개편 과정과 현행 선거제도를 소개함 □ 뉴질랜드는 정당 득표율과 의석 점유율 간의 불비례성, 대표성의 한계 등에 대한 지속적인 문제 제기로 인해 1993년 국민투표를 통해 소선거구 단순다수대표제에서 연동형 비례대표제로 선거제도를 개편함 ○ 1960년대부터 1980년대 초까지 양대 정당인 국민당과 노동당의 정당 득표율은 점차 하락했지만, 두 정당이 전체 의석의 97~100%를 차지함 ○ 1978년과 1981년 총선에서는 노동당과 국민당의 득표율과 의석 점유율 순위가 뒤바뀌면서 의원내각제 국가에서 다수당이 바뀌는 문제가 발생함 □ 뉴질랜드는 소선거구 단순다수대표제로 72명, 비례대표제로 48명을 선출함 ○ 전국 득표율에 따라 할당된 의석에서 지역구 당선자 수를 제하고 남은 의석수만큼 비례대표 의석을 배정받으며, 정당의 명부순위에 따라 당선인이 결정됨 ○ 지역구 의석이 정당 득표율에 따라 배정된 의석수보다 많으면 초과의석을 인정함 □ 선거제도 개편 이후 뉴질랜드는 정당 득표율과 의석 점유율 간의 비례성과 정치적 대표성이 높아지고, 군소정당의 의석수가 증가하였으며, 다당제로 바뀌었다고 평가됨 ○ 다양한 정당이 원내 진출에 성공했고, 여성 의원 수가 증가했으며, 의회 구성원의 다양성도 높아짐 □ 이후 2011년에 실시된 국민투표에서 투표자의 57.8%가 현행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지지함에 따라 현재까지 선거제도가 유지되고 있으나, 선거제도 개편을 주장하는 목소리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음
※ 자세한 내용은 보고서를 참고하여 주시고, 담당자에게 문의 바랍니다. 담당자: 정치의회팀 송진미 입법조사관 (02-6788-4534) ☞ 보고서 바로보기: https://www.nars.go.kr/report/view.do?cmsCode=CM0043&brdSeq=420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