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6일로 개막을 100일 앞두는 부산국제영화제(BIFF)가 정실 인사에 따른 사유화 논란이 불거지며 파행 위기에 놓였다.
이번 사건은, 문재인 정부 당시 임명된 이용관 이사장과 그 사단의 영화계 사유화 행보에서 비롯된 사건이다.
이용관 BIFF 이사장은 업무상 횡령으로 유죄판결을 받았음에도, 7일 만에 이사장에 복귀하여, 부산국제영화제 내부를 이 이사장의 측근 인사로 채웠다.
이용진 이사장과 그 측근인 오석근 BIFF 아시아콘텐츠&필름마켓 위원장은 노골적으로, 특정 진영을 옹호하고 편파적인 사상을 내보였으며, 부산국제영화제를 비롯한 영화계를 좌파 세력으로 잠식하려는 행보를 보여왔다.
부산국제영화제의 예산 중 대다수를 차지하는 100억 원 가량이 국비와 시비로 지원되는 만큼, 부산국제영화제의 중립성과 투명성을 바탕으로 한 흥행은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정파성에 젖은 일부 좌파 인사들이 ‘다이빙 벨’이나 ‘대통령의 일곱 시간’ 같은 영상물을 국제영화제에 올리고 정치적 논쟁거리로 전락시키는 터무니없는 전횡을 저질렀다.
진작에 영화제를 떠났어야 할 인물들이 버젓이 다시 등장해 이사회를 장악하고 프로파간다 영상물, 저질 콘텐츠 등으로 부산국제영화제를 망치려 들고 있으니 이러한 좌파 예술계 카르텔의 폐해가 매우 심각하다.
이런 행보들은 국민에게 국내 영화를 비롯한 영화계의 신뢰를 추락시키고, 부산국제영화제의 위상과 투자를 축소시키는 결과를 낳고 있다.
정부와 부산시의 장기간 대규모 투자를 통해 아시아 최대의 영화제로 성공시킨 부산국제영화제를 정치색으로 오염시키고 있는 이용진 이사장과 그 사단은 즉각 사퇴해야 한다.
대한민국 K-콘텐츠의 진흥과 영화산업의 발전, 다양한 영화를 선보이는 장이 되어야 할 문화행사가 일부 좌파에 의해 오염되는 현실을 반드시 뜯어고쳐야 한다.
2023. 6. 23.
국민의힘 부대변인 최 주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