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말 문체부가 열독률과 사회적 책무 점수 등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지표를 기초로 해서 정부 광고를 집행하겠다 선언한 바 있다.
이 광고 지표는 3500여 정부 광고주에게 배포되고 각 신문사와의 광고 단가는 이를 기반으로 협의된다는 점에서 해당 지표의 신뢰성과 투명성은 매우 민감한 문제다.
그런데 한국언론재단이 2021년 취합한 ‘정부 광고 집행 참고 자료’를 보면 열독률 조사에선 1위인 조선일보가 6위였던 한겨레와 순위가 뒤바뀌는 비상식적인 일이 발생했다.
조선일보는 2022년에도 열독률 조사 결과와는 상반되게 광고 지표에서는 한참 아래 순위를 받았는데 '사회적 책무 점수'라는 배점이 추가됐기 때문이다.
다른 것을 차치하고 상식적으로 봐도 미디어를 통한 광고 효과, 광고라는 것은 대중에게 얼마나 잘 노출되는지가 척도가 아닌가.
공정하게 가늠하기도 어려운 사회적 책무 점수라는 항목을 끼워 넣었으니, 정부가 신문사들을 줄 세우고 길들이겠다는 의도라고 밖에 의심할 수 없지 않나.
기존 열독률 조사의 신뢰성에 대한 의문도 거둘 수 없다.
검증이 어렵기 때문에 특정 언론사를 밀어주기 위해 열독률 조사 항목과 기준을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기반으로 광고 지표도 뒤바꿀 수 있다는 것이다.
2021년 기준 정부는 1조 1천억원 가량의 광고비를 집행했다.
이 돈줄을 움켜쥐고 광고 지표까지 조작해가며 자신들의 입맛에 맞는 신문사들을 집중적으로 지원하고 비판적인 신문사들은 압박하는 반민주적 ‘신문 농단’ 시도라고 밖에 보이지 않는다.
한상혁 전 방통위원장을 앞세워 권력에 비판적인 방송사에 대해 재승인 점수 조작까지 해가며 굴복시키려 했던 ‘방송 농단’사건과 하나도 다르지 않은 '판박이' '데칼코마니'다.
‘방송 농단’에 이어 ‘신문 농단’까지 자행한 문재인 정권은 언론을 장악해 그저 권력의 하수인, 친정권 기관지로 전락시켜 마음대로 움직이며 언론 전체를 퇴화시키려 했던 것 아닌가.
문재인 정권 시절 발생한 ‘방송 성적 조작’,‘신문 통계 조작’ 사건은 모두 권력을 이용해 민주주의의 기틀인 '언론'을 위협한 심각한 범죄이며 언론인들의 언론자유를 짓밟는 행위다.
언론재단의 진상 조사는 물론이고 수사기관의 수사를 통해 해당 사건의 진실이 반드시 파헤쳐야 한다.
2023. 6. 28.
국민의힘 대변인 김 예 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