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의회정보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2013 국정감사] 고령 이산가족 사망률 87.8%

    • 보도일
      2013. 10. 15.
    • 구분
      국회의원
    • 기관명
      김성곤 국회의원
고령 이산가족 사망률 87.8%(13년)통일부는 이산가족 상봉행사 즉시 재추진해야

o 지난 9월 25일 이산가족 상봉행사가 무산된 가운데 남측 이산가족상봉 신청자 중 고령자 사망률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어 인도적 상봉지원이 시급하다고 김성곤의원(민주당, 외교통일위원)이 주장하고 나섰다.

o 통일부가 국회 외교통일위원인 민주당 김성곤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3년 8월 현재 이산가족 통계를 살펴보면 총 신청자 129,035명 중 56.2%인 72,491명이 생존해 있으며, 이중 남자가 46086명(63.6%), 여자는 26405명(36.4%)로 집계되었다. 이들의 출생지는 황해도가 23.4%로 가장 많았고, 평남이 13%, 함남이 11.3%, 출생지를 기재하지 않은 신청자가 35.6%로 나타났다. 무기재하는 경우는 자녀들이 상봉신청을 대리하면서 무기재하였거나, 혹시나 북한의 가족들이 피해를 당하지 않을까하는 불안감에서 기재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어 안타까움을 더했다.

o 그런데 이들 이산가족 신청자 중 상당수가 70세 이상의 고령자이며, 특히 80세~89세가 29,237명(40.3%), 90세이상이 6610명(9.1%)으로 이들이 전체의 49.3%에 해당하는데 안타까운 것은 이들의 사망속도가 점차 빨라지고 있어 남북한 당국의 인도적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김성곤의원은 지적했다.  

o 이에 대하여 김성곤의원은 “이산가족의 생사확인 및 교류를 촉진하는 것은 국가의 의무라고 지적하고 통일부는 이를 실천하기 위한 남북이산가족 교류촉진 계획을 즉시 수립·시행해야만 한다”라고 주장하였다. 한편 이명박 정부이후 2차례의 이산가족 상봉에서 1,774명만이 상봉한 것으로 드러났다. 5.24조치 이후 상봉은 물론 당국차원의 생사확인, 서신교환이 모두 두절되어 남북간의 인도적지원에 대한 노력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표: 첨부파일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