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의회정보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KBS 수신료 강제 징수 폐지는 국민의 명령, 절박한 심정으로‘국민의 방송’으로 귀환하길 바란다. [국민의힘 김예령 대변인 논평]

    • 보도일
      2023. 7. 6.
    • 구분
      정당
    • 기관명
      국민의힘
어제 KBS 수신료를 전기요금에서 분리해 징수하는 내용을 담은 방송법 시행령 개정안이 방통위에서 통과됐다. 이러한 결정은 국민의 96% 이상이 수신료 폐지에 대해 찬성했다는 점이 근거가 되었다는 점을 KBS 경영진은 무겁게 받아들여야 한다. 여론이 이토록 KBS 수신료 문제에 부정적인 이유는 KBS가 그간 불공정 방송과 방만 경영을 지속해 왔기 때문임을 직시해야 한다.  한쪽으로 치우친 노조가 특정 정치 세력과 결탁하면서 편파 방송을 이어온 사례가 셀 수 없이 많다. KBS의 보도는 전 정권의 문제점에 대해선 관대함이 지나쳤고 현 정부에 대해선 있지도 않은 사실을 만들어 시청자에게 왜곡된 정보를 주입하려는 정파적 의도를 여과 없이 드러내 왔다. 각종 라디오, TV 시사 프로그램의 패널과 앵커 역시 전 정권에 편향적 태도를 보였던 KBS 내 직원을 비롯해 친(親) 민주당 성향으로 가득 채워 국정과 사회에 대한 공정한 토론을 가로막고 채널 전체를 현 정부에 무조건적인 불만 성토장으로 전락시켰다. KBS의 더 큰 문제점은 사실상 수천억원 상당의 국민 혈세를 지원받고 있으면서도 그 책임을 기만하고 방만 경영을 지속하며 자신들의 배만 불렸다는 것이다. 비대하고 비효율적인 조직을 유지하며 지나치게 많은 인건비를 지출했고 정작 변화하고 있는 미디어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투자에는 소홀했다. 자구노력도 자성의 움직임도 없었다. 악화한 경영 상태를 빌미로 지난 2021년에는 되레 수신료 인상을 추진하는 행태를 보이기도 했다. 그런데 여전히 KBS 노조는 언론의 기본적인 역할에서 벗어나 민주당과 보폭을 맞추며 수신료 분리 징수 문제를 정쟁의 영역으로 끌어들이고 있다. 이러한 이유들이 KBS의 경쟁력 약화 원인이다. 고객인 국민이 외면한 것이다.  그런데도 경영자와 노조원들은 이를 망각하며 ‘공영방송 장악’, ‘KBS 길들이기’라는 구호를 외치며 피해자 코스프레로 국민 정서를 호도하려 한다. KBS 수신료 강제 징수 시대의 종언은 국민의 명령이라는 것을 KBS는 깨달아야 한다.  KBS는 이제 쇄신을 원하는 국민의 뜻을 겸허히 수용하고 절박한 심정으로 변화와 혁신을 앞당겨야 한다.  국민이 인정하고 국민이 신뢰하는 국민의 방송으로 거듭나 실추한 명예를 되찾을 수 있기를 기원한다.  2023. 7. 6. 국민의힘 대변인 김 예 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