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원 前원내대표가 최근 해양수산부의 ‘대형저인망어업 연근해 대체어장 신설’방침을 백지화시킴으로써 목포 유자망어선 등 연근해 어업인의 숙원을 해결했다.
지난주 박지원 前원내대표를 면담한 목포근해유자망선주협회(회장 이지배) 등 연근해 어업인들은 “대형저인망어선들이 조업장소를 연안해역으로 이동하고 삼치, 병어, 멸치, 밴댕이 등 부유성(浮遊性) 어류까지 마구잡이로 싹쓸이하는 바람에 연근해 수산자원이 급감하고 연안어업이 존폐의 기로에 서있다”고 호소하면서, 해양수산부의 대형저인망어업의 대체어장 신설계획을 막아줄 것을 요청했다.
박지원 前원내대표는 이러한 연근해 어업인들의 호소를 윤진숙 해양수산부 장관에게 전달하고 직접 윤 장관을 설득했다. 박 前원내대표는 “쌍끌이·외끌이 대형저인망어선들로 인해 연근해어업이 존폐의 기로에 서 있는데, 해양수산부가 참조기 산란장 겸 연근해 어종(조기·병어·갈치·멸치·도미 등)의 월동장인 소흑산도(가거도)와 백도 인근해역에 대체어장을 신설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강조했고, 윤 장관도 이러한 문제제기를 수긍했다고 한다. 박 前원내대표는 “장관에게 ‘수산자원을 보존하고 연근해어업의 명맥을 유지하기 위해서라도 대체어장 신설은 결코 안 된다’고 설득했고, 장관도 이에 동의하면서 ‘대체어장을 추진하지 않겠다’고 확약했다”고 밝혔다.
박 前원내대표는 “2010년과 올해 ‘참조기 조업기간 연장’을 관철시킨데 이어 대형저인망어업 대체어장 불허로 목포와 전남의 연근해 어업인들께 조금이나마 희망과 용기를 주게 된 점을 기쁘게 생각한다”면서, “앞으로도 목포 어민들과 연근해어업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