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정책정보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권력형 학부모 악성 민원인 이동관과 부인, 방송통신위원장 절대 불가”

    • 보도일
      2023. 7. 28.
    • 구분
      국회의원
    • 기관명
      강득구 국회의원
강득구 , “ 교사 상대 권력형 악성 민원 학부모인이었던 이동관과 이동관 부인 .... 방송통신위원장 절대 불가 ” 이동관 특보 , MB 정부 황태자일 때 아들 학폭 은폐 위해 학교로 직접 전화 , 이동관 부인은 학교로 직접 찾아가기도 … 부인은 2010 년 인사청탁 받은 정황도 최근 보도 ... 무너지는 교권 세워야 할 시점에 막나가는 인사 강득구 , “ 전국의 학폭 피해학생과 악성 민원 피해교사들이 지켜보고 있어 … 이동관 내정은 반드시 막아야 ” 강득구 의원 ( 더불어민주당 , 안양만안 ) 은 윤석열 대통령의 신임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로 이동관 대통령 대외협력특보 지명한 것에 대해 “ 이동관 특보와 부인은 자녀의 지독한 학폭에 대해 막강한 권력으로 해결한 악성 민원 학부모로서 , 결코 방송통신위원장이 되어서는 안되는 인물이다 . 반드시 방송통신위원장 임명을 막아야 한다 ” 고 밝혔다 . 학부모의 악성 민원으로 추정되는 서이초 신규교사의 사망으로 교사와 교육계를 넘어 온 국민이 분노하고 애도하는 상황에 더 지독한 ‘ 권력형 악성 민원 학부모 ’ 였던 이동관 특보를 28 일 ( 금 ), 윤석열 대통령은 신임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로 지명했다 . 오늘 발표한 13 만 2 천 여명 교육주체 설문에서도 ‘ 유사사례가 발생 가능하다 ’ 는 응답에 97.6% 나온 상황이다 . 게다가 이동관 특보는 이명박 정부 시절 , 정권의 언론장악을 주도했다는 비판을 받는 인물이기도 하다 . 이동관 특보는 2011 년 아들의 학교폭력을 권력으로 덮으려 했다는 의혹을 받는 인물이고 , 아직까지 이 사안은 국민적 분노에 놓여있다 . 이동관 특보의 아들은 하나고등학교에서 친구들을 대상으로 심각한 학교폭력을 저질렀지만 , 학폭위도 열리지 않고 , 다른 학교로 무난히 전학을 가서 명문대에 입학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 피해학생들의 진술서를 통해 알려진 당시 학폭 상황은 , 침대에 동료 학생을 눕혀서 밟고 , 1 주일에 2~3 회꼴로 폭행하며 , 심지어 친구들끼리 때리도록 했다는 것이다 . 이러한 진술과 전학 후 명문대 입학 사실이 알려지면서 국민적 공분을 샀다 . 여기에 더해 더 심각한 문제는 아들의 학교폭력 사실을 은폐하기 위해 , 당시 MB 황태자로 알려진 이동관 특보가 직접 하나고등학교로 연락을 했다는 점이다 . 이동관 특보는 당시 하나고등학교 이사장이었던 김승유 이사장과 통화를 한 것이 확인되었고 , 이동관 특보의 부인인 김 모씨는 학교를 찾아가 관련 교사 명단을 제출하도록 했다고도 밝혀졌다 . YTN 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 이동관 부인은 2010 년 인사청탁을 받은 정황이 법원 판결문을 통해 확인되기도 했다 . 돈을 돌려주고 청와대 민정수석실에 신고도 했다고 증언했지만 , 두 달 뒤 청탁 당사자가 포함된 종교행사에 청와대 수석과 장관이 참석 , 축사까지 해 의혹이 증폭된 사건이다 . 이동관 특보는 이에 대해 “ 당시 청와대 민정수석실 누구에게 , 언제 , 어떤 방식으로 사건을 신고했는지 ” 에 대해 책임 있는 답변을 하지 않은 상태이다 .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강득구 의원은 “ 현재 학부모들의 악성 민원으로 고통받는 교사들의 교권을 지키고자 모든 교사들이 분노하고 있고 , 온 국민이 애도하고 있는 상황에 있는데 , 정권의 핵심 권력자로 아들의 학교폭력을 은폐하기 위해 학교로 전화를 걸고 , 또 그 부인이 학교로 찾아가게 했던 그 인물이 대한민국의 언론정책을 책임지는 자리인 방송통신위원장으로 임명한다면 도대체 어떻게 어떤 학생이 , 어떤 부모가 , 어떤 교사가 , 어떤 국민이 이를 용납할 수 있는지 의문 ” 이라고 말했다 . 더불어 강득구 의원은 “ 이동관 특보의 아들은 정순신 전 검사의 아들보다 더 심한 폭력을 행사했으며 , 이동관 특보는 정순신 전 검사보다 비교도 안될 만큼 학폭 제도를 무력화시켰다 ” 며 , “ 지금도 여전히 학폭 피해자들이 상처 입은 채 이동관을 쳐다보고 있는 상황에서 , 그리고 학부모 악성 민원으로 피해를 받은 교사들의 입장에서 이동관 특보 방송통신위원장 임명은 절대 있을 수 없는 일 ” 이라고 강조했다 . <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