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전 대통령의 호남형 맞춤 공약으로, 세계 유일의 에너지 특화대학이라 공언했던 한전공대 운영은 혹시나 했지만 역시나였다.
애당초 누적적자 45조 원의 한전이 1조 6000억 원이나 지원금을 내서 특성화 대학을 만드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었다.
천문학적 부채를 떠안고 설립된 마당에 온갖 비리행태들이 산업부의 감사 결과 드러난 것이다.
직원들의 급여를 멋대로 인상한 것부터 법인카드 사용·관리 부적정·허위 근무까지, 대학 운영과 관련한 중요 사항을 이사회와 산업부에 보고하지 않은 것이 드러났다.
법인카드 사용 및 관리 부적정은 총 264건, 1억 2600만 원이며 허위 근무자 47명 및 시간외근무수당 건은 206건인데 1700만 원을 부정수령 수령 한 것으로 감사 결과 드러났다.
이에 대해 산업부는 5900만 원을 환수 조치한 상태이다.
설립 논의 초기부터 한전의 천문학적 부채 등 재정문제뿐만 아니라, 기존 과학기술원과의 역할 중복 그리고 부지선정에 이르기까지 각종 논란들이 있었다.
그야말로 ‘졸속 개교’가 이루어진 것이다. 조직이 갖추어야 할 기본도 갖춘 치 못한 채 문 정부 당시 급하게 밀어붙여 설립한 한전공대의 결과이다.
지난 5월 개교 1년을 맞았지만, 세계 유일의 에너지특화대학 설립과 각종 지원을 통해 향후 에너지산업의 성장동력이 될 거라 했던 한전공대는 현재 사상누각에 불과한 비리의 온상으로 남아있다.
단순한 정치적 문제가 아닐 것이다. 향후 10년간 1조 6000억 원을 지원해야 하는 한전의 빚잔치와 한전공대의 미래는 어떻게 책임질 것인가. 이에 대한 부담과 피로는 고스란히 국민의 몫이다.
기본도 갖추지 못한 채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졸속 개교를 한 문 정부는 국민들에게 진심으로 사과해야 마땅하다. 그리고 무책임한 경영으로 대학을 비리의 온상으로 만든 총장은 모든 책임을 지고 사퇴하라.
2023. 7. 28.
국민의힘 부대변인 최 현 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