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의회정보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코넥스시장 거래량의 70%는 공기업 펀드

    • 보도일
      2013. 10. 24.
    • 구분
      국회의원
    • 기관명
      김영주 국회의원
코넥스시장 거래량의 70%는 공기업 펀드

■ 일반투자자 외면속 갈수록 거래량, 거래대금 줄고 공기업펀드 거래비중은 늘어나
■ 김영주의원 “공기업펀드의 과도한 시장개입은 가격왜곡 초래, 오히려 시장활성화에 걸림돌 될 수도”


코넥스 시장이 지난 7월2일 박근혜대통령의 창조경제의 밑거름이 되겠다며 의욕적인 개장을 했지만 일반투자자들의 외면속에 사실상 개점 휴업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10. 15. 현재 상장기업수는 26개사, 일평균 거래량은 6만주, 거래대금은 4억원에 불과하다. 종목별로 환산하면 일평균 거래량 약 2천3백주, 거래대금은 천오백만원 수준이다.

문제는 7월 코넥스시장 개장이후 갈수록 거래량과 거래대금이 줄어들고 있다는 것입니다.

국회 김영주의원(민주당, 영등포갑)이 거래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의하면 7월, 8월에 4-5억원이던 일평균 거래대금도 10월 들어서는 3억원 수준으로 줄었다.

더 큰 문제는 거래량 대부분이 공기업들이 조성한 공동펀드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거래소, 예탁원, 증권금융 등 증권유관기관으로부터 출연 받아 조성한 1000억원 규모의 창조금융펀드가 거래량의 70% 이상을 차지한다는 것이다. 그것도 7월에는 64%이던 투자비중이 8월에 70.6%, 9월에는 85.2%까지 올라갔다.

이러다보니 시장에서는 한국거래소가 코넥스상장기업의 지주회사가 되는 것 아니냐는 우스갯소리도 나오고 있다.

중소 벤처기업의 획기적인 자금조달 창구로 기능할 것이라는 기대와 달리 코넥스 시장은 장외주식 거래를 위해 금융투자협회에 개설되었던 프리보드 시장의 전철을 밟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이 같은 문제점을 감안해 지난 10일 코넥스시장 조기 안착을 위한 보완방안을 발표했다.

국책 금융기관(정책금융공사 등), 성장사다리펀드, 증권유관기관 펀드(1,500억원 조성)의 코넥스 투자를 확대하고 금년 말까지 상장기업 수를 50개까지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김영주의원은 “정부가 지나치게 시장에 개입하면 가격이 왜곡되고 오히려 코넥스시장 활성화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며 “과도한 시장개입보다는 기관 및 일반투자자들의 투자를 유도할 수 있는 제도정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