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새정치민주연합 백군기 의원(국회 국방위원)에 따르면 국방부가 2018년부터 2019년까지 8대를 도입할 예정인 의무후송전용헬기가 실제 필요 소요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방부는 지난 8월 4일 한국항공과 계약을 맺고 개발비 320억원, 양산비 2,600억원을 들여 국산 기동헬기 수리온을 기반으로 의무후송전용헬기 개발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의무후송전용헬기는 악천후에서도 환자를 후송해야하기 때문에 기상 레이더, 지형충돌 경보장치를 탑재하고, 공중인양이 가능한 호이스트(Hoist)도 장착된다.
그러나 도입될 8대는 전시는 물론 평시 최소 소요에도 미치지 못 하는 물량으로, 도입량을 대폭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있다.
2011년 한국국방연구원이 수행한 사업타당성 연구에 따르면 한국군에 필요한 의무후송전용헬기는 24대다. 헬기가 출동해 환자발생지역까지 15분 이내 도착이 가능하도록 전국을 비행거리 반경 약 15km 기준으로 나누면 거점이 총 12곳 나오는데, 헬기의 교육•훈련•정비 소요를 감안해 최소 24대가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온 것. 그러나 현재 도입 예정인 8대로는 3~4개의 거점밖에 맡을 수 없어 전방 외에는 운용이 불가능하다. 그나마 24대를 도입해도 수십여대가 더 필요한 것으로 알려진 전시소요에는 크게 못 미친다.
주한미군과 비교해도 소요가 부족함이 드러난다. 2만 8,500명 정도가 주둔 중인 주한미군은 현재 의무후송전용헬기를 12대 운용 중이다. 헬기 한 대당 약 2,375명을 소화하는 셈. 그러나 병력이 63만여명인 한국군은 8대가 도입되면 헬기 한 대당 약 7만 8,750명을 맡아야 한다. 백군기 의원은 “주한미군은 전시를 대비해 의무후송전용헬기를 배치했기 때문에 대수가 많은 것”이라며 “한국군도 최소 평시 소요수준은 도입해야 원활한 응급후송이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백군기 의원은 또 “헬기 8대로는 전시 대량피해 발생지역에서 또 몇 시간에 걸쳐 구급차나 배로 응급환자를 후송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인명중시를 제1가치로 둔 인본주의 군대가 되기 위해 의무후송전용헬기 소요를 대폭 늘려야한다”고 지적했다.
국방부 입장에서는 대당 양산가가 240억원 정도인 기동헬기에 비해 290억원대로 다소 비싼 의무후송전용헬기를 추가로 더 도입하기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의무후송헬기는 전∙평시를 가리지 않고 실제상황에 투입되기 때문에 기동헬기보다 더 중요한 전력이라 우선순위를 앞에 둬야한다는 반론도 있다. 119구조헬기가 진입하기 어려운 군사지역이나 악천후 상황에서도 의무후송헬기는 투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민지원 측면에서도 중요한 전력이라는 것.
또 다른 문제는 의무후송전용헬기가 도입된다 하더라도 탑승할 전문 의료요원에 대한 교육과정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일반 기동헬기와 달리 환자후송 시 응급진료를 주목적으로 운용하는 헬기인 까닭에 전문교육을 받은 의료요원이 함께 탑승해야 하지만 현재로선 그러한 임무를 수행할 요원이 없다는 것.
백군기 의원은 “앞으로 3년이 뒤면 전력화가 눈앞인데 의무사령부는 전문 의료요원에 대한 교육방안도 마련하지 않았고 교육기간과 예산도 아직 결정된 게 없다고 한다”며 문제를 제기했다.
한편 의무후송전용헬기는 비행금지구역을 비행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조종사도 고난이도의 항법훈련을 거쳐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