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리사,“외고 5명 중 1명 이공계·의대 진학” -‘09~’12 졸업생 어문계열 진학 27.9%, 4명 중 1명만 어문계열 진학
외국어 우수인재 양성을 위한 외고의 대학입시 결과 어문계열 진학이 여전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소속 이에리사 의원(새누리당, 비례)이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자료를 제출받아 외고 대학진학 현황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9~2012년까지 졸업자를 배출한 30개 외고 출신 대학진학자 29,183명 중 어문계열 진학 학생은 8,139명으로 전체의 27.9%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내용을 보면 2009년 외고 출신 진학자 7,083명 중 어문계열 진학자는 1,933명으로 전체 진학자의 27.3%에 해당하는 수준이었다. 한편 2012년의 경우 외고 출신 진학자 7,138명 중 어문계열 진학자는 2,129명으로 전체 진학자의 29.8%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학고의 2012년 대입 결과 진학생 96.7%(1,401명 중 1,355명)가 이공계로 진학하였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외고 졸업자의 어문계열 진학은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계열 별로 보면 △인문사회계 비어문계열 47.7%(13,922명) △인문사회계 어문계열 27.9%(8,139명) △이공계열(자연·공학계열) 11.1%(3,226명) △해외유학 5.8%(1,687명) △기타계열 5.4%(1,567명) △의학 계열 2.2%(642명) 순으로 이공·의학·기타계열로 진학하는 학생이 전체 진학생의 18.7%(5,435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별로 보면 2012년의 대입의 경우 △경남외고(8.6%) △김해외고(11.8%) △한영외고(12.0%) △전남외고(12.0%) △고양외고(12.5%) △대원외고(13.6%) △안양외고(15.4%) △부산외고(19.6%) △인천외고(22.6%) △김포외고(22.7%) △대구외고(24.4%) △제주외고(26.7%) △충남외고(27.7%) 순으로 외고 평균 어문계열 진학 수준을 밑돌았다.
이와 관련 이에리사 의원은“외고가 어학에 강한 인재를 키운다는 목적을 가지고 설립되었으나, 당초 목적과는 다르게 외고 졸업생의 상당수가 어문계열이 아닌 다른 계열로 진학을 하고 있었고, 특히 의·공대 진학생도 적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또 이 의원은“점차 글로벌화가 강조되고 있는 현실에서 외국어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며“어학에 두각을 나타내는 외고 학생들에게 더 이상 어문계열 진학만을 강요할 수는 없고, 아울러 본래의 목적을 상실한 외고의 경우 특목고 지정에 대해서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표: 첨부파일 참조
첨부파일
20120925-이에리사 의원, 이에리사, 외고 5명 중 1명 이공계, 의대 진학.hwp
20120925-이에리사 의원, 이에리사, 외고 5명 중 1명 이공계, 의대 진학2.xls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