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희 의원(행정안전위원회, 청주시서원구)이 7일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 첫날,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이재오 이사장)와 행정안전부(이상민 장관)를 향해 석연치 않은 민주화운동기념공원 안장 대상 변경 과정을 지적하며 배후에 김건희 여사가 있는 건 아닌지 따져 물었다.
이광희 의원은 “전례 없는 사업회 사회장은 물론이고 졸속으로 이루어진 민주화운동기념공원 안장 대상자 추가 과정은 누구 한 명을 위했다는 의심이 든다”며 이재오 이사장과 이상민 장관을 몰아세웠다.
기념사업회는 9월 22일 장기표 전 신문명정책연구원장이 사망하자 그동안 전례가 없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회장’으로 장례를 치렀다. 또 26일 장 전 원장을 민주화운동기념공원에 안장하는 과정에서도 의심스러운 대목이 있다.
9월 13일 민주화 운동 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심의위원회(이하 민보상위)를 열어 기존 안장 대상자 136명 외에 ‘민주화운동 관련 정부포상 수훈자’를 추가 대상자로 결정했다. 이후 22일 장 전 원장이 사망하자 24일 다시 민보상위를 개최해 ‘(추서 절차가 진행 중인 자 포함)’이라고 대상자를 추가했다. 장기표 원장은 이 요건에 해당되어 26일 민주화운동기념공원에 안장되었다.
이를 두고 이광희 의원은 “일이 벌어진 과정을 살펴보니, 김건희 여사가 8월 30일 장 원장을 문병했고, 장 원장은 지난 대선 당시 김건희 여사를 옹호했던 사실이 있다”며 “석연치 않은 과정 속에 김건희 여사의 개입이나 지시가 있었던 것은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끝으로 이 의원은 “과거 독재정권으로부터 이 땅의 민주주의를 위해 맨몸으로 맞서 싸운 민주열사를 기리고 그 뜻을 계승해야 할 민보상위와 기념사업회가 사유화되고 있는 건 아니냐”며 이상민 장관과 이재오 이사장에게 사죄하고 안장을 취소할 의향이 있는지 강하게 물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