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이달희 의원 ( 국민의힘 / 비례대표 ) 은 6 일 ( 목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 후보자 김대웅 인사청문회에서 최근 사회적 논란이 되고 있는 선관위 경력 채용 비리와 관련해 사실상 불법 채용의 단초로 지적된 선관위 직원 대량 휴직 실태를 지적하며 , 선관위의 안정적 기관 운영을 위한 인사 제도 개선 방안 마련을 촉구했다 .
이 의원은 “ 최근 감사원이 발표한 선관위 인력관리실태를 보면 시 · 도 선관위가 2013 년부터 2022 년까지 실시한 167 회 경력직 채용에서 무려 662 건의 규정 위반이 적발됐고 , 2013 년부터 2023 년까지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실시한 124 회 경력직 채용에서도 216 건의 절차 위반이 적발됐다 ” 고 지적하며 , “ 절차적 공정성이 생명인 선관위의 국민적 신뢰가 땅에 떨어졌다 ” 고 강조했다 .
이어 이 의원이 “ 선관위 고위직들이 경력 채용에서 채용 공고 없이 자녀를 채용하거나 , 친분이 있는 내부 인사들로만 심사위원을 구성해 자녀 면접 점수를 조작하는 수법으로 비리를 저질렀다 ” 며 , “ 결국 고위직 아들딸들이 좋은 자리를 얻으면서 , 일반 응시자는 기회를 박탈당했고 , 이 부분이 국민들께서 따갑게 질책하는 부분 ” 이라고 지적하자 , 김대웅 후보자는 “ 그 점에 대해서 동의한다 ” 라고 답변했다 .
특히 이 의원은 이러한 불법 경력 채용 문제가 눈덩이처럼 커진 것은 그동안 선거 때만 되면 반복적으로 대거 휴직하는 선관위 조직 내부의 구조적인 문제라고 지적하며 , 선관위 직원들의 안이한 소명 의식을 비판했다 .
이 의원은 “20 대 대선이 있었던 2022 년의 경우 전년 (2021 년 ) 3 월 기준 92 명에서 202 명 , 8 회 지방선거도 전년 (2021 년 ) 6 월 기준 99 명에서 무려 225 명으로 휴직자가 2 배 이상 급증하면서 , 선거 관리를 위해 불가피한 채용이 반복될 수 밖에 없었다 ” 면서 , “ 결국 휴직자의 공백을 메우기 위한 채용이 선관위 자녀 특혜채용의 통로가 되었다 ” 고 지적했다 .
이에 대해 김대웅 후보자는 “ 지적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 고 밝히며 , “ 조직 운영 , 인사 관리 부분의 투명성이 확보되어야 선거에 대한 신뢰 , 투명성도 확보된다 ” 고 언급했다 .
끝으로 이 의원은 “ 법적으로 보장받아야 할 휴직 제도를 강제할 수는 없지만 , 선거 관리라는 본연의 업무까지 지장을 줄 정도로 휴직 풍토가 만연한 것은 기관 운영의 큰 문제 ” 라며 , “ 책임감 있게 버틴 직원들이 악의적인 휴직자로 인해 역차별이나 피해를 입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 고 주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