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영 한신대 교수가 좌장을 맡고, 김성혁 민주노동연구원장, 전수진 변호사, 이수미 녀름농민정책연구소 부소장, 백일 전 울산과학대 교수, 안정상 한국OTT포럼 회장, 이창희 전 국방기술품질원 장 등 각계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미국의 ‘2025 국가별 무역장벽 보고서(NTE)'에 담긴 통상압력 실태를 진단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하였습니다.
이번 보고서에서 미국은 우리 정부가 시행 중인 식품 안전, 개인정보 보호, 농업 검역, 디지털 주권 등 국민의 삶과 직결된 공공정책들을 ‘무역장벽’으로 규정했습니다. 공정위의 플랫폼 규제안, 산업기술 보호법, 원전 외국인 지분 제한, 방위산업 절충교역 등도 새롭게 '무역장벽'으로 지적했습니다. 이 보고서의 내용들은 한국 상호관세 25%의 근거가 되었습니다.
윤종오 진보당 원내대표는 인사말을 통해 “이번 보고서는 단순한 통상이슈가 아니라, 대한민국의 정책결정권과 경제주권을 침해하려는 시도”라며 “국민의 주권과 공공성을 지키는 실질적 대응에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전종덕 의원은 “정부가 미국산 GMO 감자 수입 적합 판정을 미국 방문 직후 내린 사실은 농업을 희생양 삼는 행위”라며 “지금은 경제주권 회복을 위한 실질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습니다.
정혜경 의원은 “올해 보고서는 미국의 통상보복 정당화를 위한 ‘체크리스트’와 같다”며 “디지털 서비스, 방위산업, 미디어 규제 등까지 전방위적 침해가 이뤄지고 있다”고 지적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