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성곤 의원실, 전국 행정기관 종사자 1만4천여 명 설문조사 결과(2025)
- 10명 중 7명은 생성형 AI 활용 경험…그러나 보안·교육 기반은 취약
- AI 외부망 활용 67.5%···녹취록·민원상담·계약·인사 등 민감 문서까지 보안 ‘빨간불’
- 위성곤 의원, “AI 행정 전환, 비가독 문서·보안 취약 해소해야”
13일 위성곤 의원실이 발표한 설문조사 결과, 행정문서의 91.1%(12,946명)가 주로 HWP(한글), 이미지·스캔 PDF 등 생성형 AI가 읽기 어려운 포맷으로 작성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전국 행정기관 종사자 14,208명(중앙부처·광역·기초자치단체)을 대상으로 지난 9월 17일부터 이달 6일까지 실시됐다.
※ 그림: 첨부파일 참조
응답자의 68.9%(9,787명)는 ChatGPT, Claude, Copilot, Gemini, HyperCLOVA X 등 생성형 AI를 실제 업무에 활용한 경험이 있다고 답해 수용성은 높았으나, 문서 포맷 호환성 부족으로 행정 효율화 효과는 제한적이었다.
※ 그림: 첨부파일 참조
AI 활용 환경을 보면, 인터넷망(개방형 망)에서 활용한다는 응답이 54.5%(6,948명)로 절반을 넘었으며, 두 망을 병행한 경우(12.9%, 1,647명)까지 포함하면 전체 응답자의 67.5%(8,595명)가 외부망에서 AI를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업무망(폐쇄형 망) 단독 활용은 32.5%(4,143명)에 그쳤다.
※ 그림: 첨부파일 참조
AI 활용 용도는 △자료 검색·정리가 41.5%(8,110건)로 가장 많았고, 이어 △행정문서 작성 요약 30.8.%(6,024건), △회의록·내부보고서 요약 정리 14.1%(2,758건), △녹취록·녹음파일 요약(회의, 상담 등) 5.6%(1,102건), △민원 상담 기록 요약·분석 3.6%(704건), △사업비 내역·계약 문서 법리 검토 3.4%(673건), △인사·근태 자료, 직원관련 내용 정리 0.9%(169건) 순으로 조사됐다. 이외에도 보도자료 작성, 법령 검색, 아이디어 창출, 민원 안내 문자 발송, 자료 분석 등 다양한 업무에 활용된 것으로 조사됐다.
행정문서, 내부보고서, 회의록, 녹취록·민원 상담 파일, 사업비 내역 및 계약 문서, 인사 근태 자료 등 민감한 내부 문서가 인터넷망 AI를 통해 처리된다는 점은 심각한 보안 취약성을 드러낸다. 이러한 문서들은 개인정보와 기관 내부의 핵심 정보를 담고 있어, 외부망을 통한 전송과 가공 과정에서 데이터 유출 가능성이 높다.
한 AI 전문가는 “행정데이터를 안전하게 활용하기 위한 폐쇄망 기반의 행정 전용 AI 환경이 시급하다”며, “공식 승인 없이 외부망에서 활용되는 ‘쉐도우 AI’ 확산은 활용 실태에 대한 관리 체계를 약화시키고, 보안·컴플라이언스 위험을 키운다”고 지적한다.
AI 활용에 필요한 교육은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프롬프트 작성법 등 AI 도구 활용 역량 교육을 연 4회 이상 이수한다고 답한 비율은 1.3%(181명)에 불과했고, 연 1~3회 정도 가끔 이수한다는 응답도 39.4%(5,591명)에 그쳤다. 전체 응답자의 59.4%(8,436명)는 교육을 받은 경험조차 없었다. 개인정보 보호·윤리·보안 등과 관련된 가이드라인 교육 역시 39.6%(5,632명)만이 받은 경험이 있었으며, 60.4%(8,576명)는 전혀 교육을 받은 적이 없다고 답했다.
※ 그림: 첨부파일 참조
AI 전문가는 “공무원 스스로 현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비전문가도 손쉽게 AI를 개발·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면서, “이와 함께 실습형 교육과 멘토링을 병행해야 현장의 자율적 혁신이 촉진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자율 응답에서는 교육·보안·접근성·예산·호환성 등 다양한 한계가 집중적으로 지적됐다.
먼저 교육 측면에서는 “실습 중심·업무 기반의 AI 활용 교육이 부족하다”, “전 직원 대상 상시·의무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수 제기됐다.
보안과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해서는 “외부망·해외 서비스 사용에 따른 유출 우려로 활용이 제한된다”, “행정망(폐쇄망) 내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공직자 전용 AI 또는 기관형 구독제가 필요하다”, “어디까지 입력이 가능한지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과 절차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이어졌다.
접근성과 비용 문제도 두드러졌다. “기관 구독 부재로 개인 유료 결제가 부담된다”, “업무망 접속 차단·망분리로 사용이 어렵다”, “결재·보고 등 절차적 부담으로 실제 활용을 주저한다”는 지적이 대표적이다.
문서·시스템 호환성 역시 반복적으로 언급됐다. “한글(HWP)·PDF 등 AI가 읽기 어려운 비가독 포맷이 많다”, “표준 포맷 전환·API 연계, 내부 클라우드·아카이브 정비가 필요하다”는 요구가 잇따랐다.
또 응답자 다수는 “AI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며, “표준 포맷 전환과 폐쇄망 기반 보안, 실무형 교육·예산 지원이 병행돼야 현장에서 실질적인 활용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 결과, 공무원 10명 중 7명이 이미 생성형 AI를 업무에 활용할 정도로 활용도가 높았지만, 행정문서의 90% 이상이 여전히 AI가 읽지 못하는 포맷에 묶여 있었고 보안·윤리적 기반도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행정 AI 도입이 단순 활용을 넘어 AI-Ready 문서 포맷 전환, 안전한 활용 환경 조성, 체계적 교육·가이드라인 정비가 시급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위성곤 의원은 “행정문서 대부분이 AI가 읽지 못하는 형식에 묶여 있다는 것은 AI정부 전환의 걸림돌”이라며, “공공문서를 AI-Ready 포맷으로 전환하고, 메타데이터와 API 연계로 호환성을 높여야 한다. 동시에 행정 전용 폐쇄망을 기반으로 보안을 강화해, 인공지능의 거대한 파고를 국가 운영 원리에 반영할 수 있도록 제도적 개선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끝
의원실 주관 공공분야 AI활용 현황 설문 조사 통계
※ 상세내용 첨부파일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