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14일 국회에서 열린 한국산업단지공단 국정감사에서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야당 간사를 맡고 있는 홍영표(부평을)의원은, 조성된 이후 49년이 지난 부평국가산업단지의 노후화된 실태를 지적하고 적극적 정부 지원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부평산업단지는 1965년 조성되어 과거 최대 수출기지로서의 역할을 하였으나, 현재는 가장 오래된 산업단지로서, 수출이 2000년 4억 400만불 수준에서 2012년 3억 3200만불 수준으로 꾸준히 감소하는 등 그 위상이 급속히 퇴색되고 있다. 제조업 공동화와 함께 임대사업자가 급증하는 등 기업의 영세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실제로 부평산단 입주기업 현황을 보면 2005년 50인 미만 소기업 비중은 84% 정도였으나 최근에는 92%를 넘어서, 입주기업 대부분이 영세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부평산단의 쇠퇴는 고용의 질 악화, 고용창출능력의 약화로 이어져 지역 경제의 견인차가 아닌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홍영표 의원은 산업통상자원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노후화된 국가산업단지에 대한 정부의 지원책이 말의 성찬에 그치고 있음을 지적하며, 부평산업단지의 발전을 위한 네 가지 정부지원책을 주문했다.
첫째, 업무지구와 문화·교육시설 어우러진 융복합집적지 조성에 필요한 유휴부지 확보를 위해 정부와 한국산업단지공단이 직접 나설 것을 주문했다. 유휴부지 확보가 선행될 때 혁신산단 지정과 신산업 발전의 토대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부평산단을 IT 및 벤처, 지식서비스산업 집중 육성을 통한 도심형 첨단 산업단지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현재 서울디지털 2단지만 지정되어 있는 ‘지식기반산업집적지구’ 추가지정을 통해 향후 집중적 정부지원책 확보를 위한 근거를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
셋째, 부평산단의 교통환경과 주차난 해소를 위해 교통 인프라 개선과 지자체 협조를 통한 통근 셔틀 버스·공공자전거 도입을 검토할 것을 지시하였고, 마지막으로 부평산단 구조고도화사업의 사업성 제고를 위한 용적률 확대를 위해 정부와 산업단지공단이 적극적으로 방안을 마련할 것을 지시했다.
홍영표 의원은 “정부의 허울뿐인 노후산업단지 지원책으로 부평산단은 ‘인구 100만 부평 도심의 회색빛 무인도’가 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정부가 앞으로도 현재와 같이 부평산단을 방치한다면 차라리 국가산업단지를 해제하여 부평 도심의 발전을 지자체와 시장에 맡겨야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