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의회정보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혁신도시 이전하며 17% 신의 직장 포기 (2014/10/16)

    • 보도일
      2014. 10. 16.
    • 구분
      국회의원
    • 기관명
      김윤덕 국회의원
국가균형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추진 중인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과정에서, 최근 3년간 13,536명이 퇴직 또는 휴직을 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김윤덕(새정치민주연합, 전주 완산갑) 의원은 16일 제주도 국정감사에서, 정부로부터 제출받은 ‘혁신도시 이전공공기관 퇴직 휴직 신규임용 현황’자료를 분석해 발표한 뒤 “제주도의 경우 이전 공공기관 4곳의 현원 674명 중 21.2%인 143명이 최근 3년새 퇴직했거나 휴직했고, 전국적으로 17% 이상이 신의 직장을 포기하거나 고민 중”이라며 “해당 지자체를 중심으로 행정적 재정적 지원과 함께 더 이상의 시행착오를 반복하지 않기 위한 분석과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국적으로는 울산 이전 공공기관 직원들의 퇴휴직률이 25%로 가장 높았으며, 세종 대구 제주 등도 20% 이상의 높은 수치를 보였다. 경남 충북 전북 등도 평균 이상의 퇴휴직률을 나타냈다. 같은 기간 공공기관들의 신규임용은 11,525명으로 현원대비 14.55%였다.
  
또한 “제주도 혁신도시에 입주예정인 재외동포재단과 한국국제교류재단은 아직까지 이전일도 잡지 못하고 구체적인 계획조차 마련되지 않았다”며 “국가균형발전과 국가경쟁력 강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추진 중인 혁신도시 사업이 제대로 추진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김 의원은 혁신도시 건설 과정에서 지역업체를 외면하고 수도권업체의 공사 수주율이 더 높았던 점도 지적하며 “제주도의 경우 혁신도시조성사업비 693억원 중 지역업체는 27.8%인 193억원에 만족해야했고, 전체 사업비 중 66.6%인 462억원이 수도권 업체의 몫이었다”고 설명했다.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채용률이 낮은 점도 도마위에 올랐다. “최근 3년간 제주이전 기관 4곳의 신규채용은 총 110명이었는데, 2012년과 2013년에는 제주지역 대학 졸업생 채용은 전무했고, 올해 단 2명 채용이 전부”라며 “이전 공공기관이 혁신도시에 안정적으로 정착하도록 한시적으로라도 지역인재 채용 의무할당제를 도입할 것”을 제안했다.

첨부.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의 최근 3년간 퇴직 휴직 신규임용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