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전주에 개관 예정인 국립 무형유산원의 조직과 예산이 상향조치 되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김윤덕(민주통합당 전주완산갑)의원은 4일 문화재청 국립 무형유산원설립추진단(단장 이길배)의 업무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현재 4급 상당으로 예정된 초대원장의 상향조치를 비롯해 운영 인력과 예산의 상향조치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이번 국정감사 과정에서 이 문제를 지역현안 사업의 핵심과제로 삼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정부가 국제 무형문화유산 교류의 거점이 될 국립기관을 만들면서 형식적인 지원에 그쳐서는 절대 안 된다”면서 “국립 무형유산원에는 국내 최초의 문화분야 국제기구인 유네스코 아태무형유산센터가 입주하기로 한 만큼, 이에 걸맞는 조직과 운영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지난 7월 국회 문방위 업무보고장에서 유네스코 아태무형유산센터의 국립 무형유산원 이전 논란을 잠식시키고 전주 유치를 확정지은 바 있다. 또한 국립무형유산원 건립비와 관련해서도 전북도-전주시와 협력해 지자체의 요구액 수준으로 정부 예산을 확보하기도 했다.
전주시 동서학동(옛 전북도 산림환경연구소 자리)에 건립되고 있는 국립 무형유산원은 우리나라 전통문화를 교류·재현·전승·체험하는 거점 공간이 될 전망이다. 특히 이 공간에 함께 들어설 유네스코 아태센터는 아시아태평양지역 48개국을 상대로 지역 무형유산 보호에 기여하기 위해 지난해 7월 문화재청 산하 특수법인으로 발족된 국제기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