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다이빙벨’상영으로 촉발된 부산국제영화제 운영에 대한 압력이 부산시가 영화제 집행위원장의 사퇴를 요구하는 초유의 사태로 이어지고 있다. 작년 부산영화제에서 서병수 시장이 ‘다이빙벨’의 상영 취소를 요구했으나, 부산영화제는 계획대로 영화를 상영했다. 영화제가 끝난 후, 부산영화제를 포함한 국비 지원 영화제에 대한 감사원 감사와 ‘지도 감독’이란 이름의 부산시 감사가 이어져 보복성 표적감사라는 비판이 제기되더니, 급기야 부산시가 집행위원장 사퇴를 요구하고 나섰다. 심지어 이미 차기 집행위원장을 내정해 놓고 이용관 집행위원장의 사퇴를 종용하고 있고, 이 과정에 청와대가 개입하고 있다는 흉흉한 소문까지 돌고 있다.
부산국제영화제가 19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아시아를 대표하는 영화제로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부산 시민과 국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영화인들의 헌신적인 노력의 결과이다. 부산시와 중앙정부가 영화제를 지원하면서 관의 입맛대로 간섭해 왔다면 지금의 부산영화제는 없었을 것이다.
지원은 하되 간섭하지 않는 것이 문화행사 성공의 전제조건이다. 적어도 이전 정권까지는 큰 틀에서 이 원칙이 지켜져 왔다. 그런데 박근혜 정부 들어 이 근간이 흔들리고 있는 것이다.‘다이빙벨’은 영화제 프로그래머가 상영을 결정한 작품이다. 정치적 압력으로 이미 선정된 작품의 상영까지 막아 버린다면 국제영화제로서의 존립마저 흔들릴 수 있다.
이번 사태는 박근혜 정부의 “영화와 영화계에 대한 무지의 결정판”이다. 이용관 집행위원장을 강제로 사퇴시키는 것도 불가하지만, 사퇴시킨다고 해도 영화계에서 그의 후임을 찾는 일도 불가할 것이다. 박근혜 정부는 부산영화제에서 손 떼라! 창조경제 하겠다면서 영화제 집행위원장 강제사퇴 운운하는 것은 소가 웃을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