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등 주자는 최고위원 사퇴하겠다는 선언 필요
- 선거 후 당의 단합과 박근혜 정부 성공 위해 대인배적 결단 촉구
- 다음부턴 당대표와 최고위원 선거 분리도 검토해야
□ 새누리당의 새로운 대표를 뽑는 전당대회가 며칠앞으로 다가왔다. 이번 새누리 전당대회 최대 관심은 뭐니뭐니해도 김무성-서청원(가나다 순서, 이름 순서에 아무런 선호 없음) 두 분간의 당대표 경쟁이다.
□ 그러나 현재 언론을 통해 보여지듯이 두 분간의 경쟁이 도를 넘어선 상호 비방 등 감정적 대립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 상태가 지속될 경우 전당대회가 끝나더라도 두 분의 대립이 지속될 가능성이 많고 당의 헤게모니 쟁탈전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당이 친김-친서로 나뉘워 싸울지도 모른다.
□ 그래서 두 분께 모두 선거 후 당의 단합과 박근혜 정부의 성공을 위한 제안을 드리고자 한다. 김무성-서청원 의원 모두 2등으로 최고위원을 하는 것이 목표가 아니다. 당대표가 목표다. 그렇다면 두 분 중 누구라도 2등을 하면, 즉 대표가 안되면 최고위원도 사퇴하겠다고 미리 선언하고 선거 결과를 겸허히 수용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싶다. 이와 관련한 두 분의 대인배적 결단을 촉구한다.
□ 과거 2010년의 당대표 경선 과정을 떠올려보면 이런 우려는 더 깊어진다. 당시 안상수-홍준표 두 분 역시 전당대회에서 맞붙어 이른바 ‘개 소송’ 문제 등으로 감정의 골이 깊어졌고, 우여곡절 끝에 안 의원이 당 대표가 되었지만 이후 당 지도부 회의 때마다 수시로 마찰을 일으켰고 당은 표류했다. 현재 김무성-서청원 의원간의 대결과 갈등이 심화되는 것을 보며 과거 안상수-홍준표 체제의 반목이 재현될 것을 우려하는 시선이 저 개인만의 것은 아닐 것이다.
□ 아울러 다음부턴 전당대회에서 대표와 최고위원 선거를 아예 분리해서 치루는 방안도 검토가 필요하다. 출마 당시부터 대표 후보와 최고위원 후보를 분리해서 신청 받고 1표는 대표에게, 1표는 최고위원에게 투표하도록 하면 적당할 것이다. 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해서 선거를 치루는 것은 전당대회 후 반복되는 당의 분열과 헤게모니 싸움을 막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