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개설 중 우연히 발견된 전남 무안군 해제면의 봉대산성에 대한 정부주도의 발굴조사가 마침내 10년만에 이뤄질 전망이다.
19일, 주영순 의원은 문화재청, 전남도청, 무안군청 관계자들과 함께 실시한 봉대산성 현장실사에서 유적의 역사적 가치를 직접 설명함과 동시에 인위적 성벽 훼손 우려 및 붕괴로 인한 등산객의 위험 등을 조목조목 설명하며 정부 차원의 긴급발굴 필요성을 역설하고, 정부의 동의를 이끌어 냈다.
긴급발굴은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보호‧관리가 필요한 매장문화재에 대한 조사나 훼손의 우려가 큰 매장문화재의 발굴조사를 실시하는 사업으로 전액 국비로 추진된다.
지난 2005년, 봉대산 공원화사업의 일환으로 임도(林道) 개설 중 성벽의 일부가 노출되면서 지역 시민단체 관계자의 제보로 처음 알려진 봉대산성은 약 430m에 이르는 석축산성으로 무안‧신안‧영광‧함평 등 해안과 내륙지역의 동시 조망이 가능하다는 지리적 특성을 감안할 때 삼국시대(백제)시대 서남해안의 군사요충지로써 축조된 것이라는 주장이 일면서 추가적인 정밀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되어왔다.
특히 통일신라시대의 토기는 물론 백제시대의 기와류까지 출토됨에 따라 산성의 정확한 역사적 성격과 전남 서남해안 일대에 설치되었던 군현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써 활용가치가 높다.
그러나 성벽과 근접한 임도 개설 및 등산로 활용, 집중호우 등으로 성벽 훼손은 물론 붕괴로 인한 주민 및 등산객의 안전도 우려되어 체계적인 보존‧정비계획 수립의 필요성도 제기되었지만 지역 정치권의 무관심 등으로 지난 10년간 방치되어 왔다는 비판이 일고 있었다.
주영순의원은 “이번 현장실사를 계기로 문화재청의 긴급발굴을 위한 국비지원을 통해 역사적 가치가 제고될 것”이라며 “긴급발굴 이후 봉대산성의 체계적인 보존 및 관리가 이루어져 역사교육의 장소로 활용가치는 물론 정비계획으로 인한 고용인력 증대와 함께 관광자원화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도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