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일연구원, 한양대 교수 재직시절 표절로 실적 쌓아 승진 - 짜깁기, 재탕에 삼탕 사탕하기, 홍용표 후보자 논문 중복게재 종합
홍용표 후보자의 논문 중복게재 사실이 끝을 모른 체 속속 확인되고 있다. 그 수법도 다양해 연구윤리 파괴 사례의 집대성을 보여준다. △여러 개의 논문을 하나로 짜깁기 △한글 논문을 영문으로 다시 내기 △참고문헌을 재인용했음에도 원문을 처음 본 것처럼 인용하기 △오래된 논문을 새로운 제목을 달아 재활용하기 △표절품으로 연구비 수령하기 △재탕이 모자라 삼탕, 사탕하기 △학술회의 발표논문을 인용 없이 학회지에 게재하기 △ 연구비 수령하고 다른 결과물 내기 등 한마디로 자기표절의 끝판왕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앞서 신경민 의원이 중복게재를 제기한 <노무현 정부에 대한 북한의 정책 전망(2003_국제문제연구)>, <북한의 남북 당국간 대화 전략: 김대중 정부 시기를 중심으로(2005년 _북한연구학회보) 논문 외에도 통일연구원과 한양대 재직시절 발표한 논문의 다수가 심각한 자기표절, 중복 게재로 확인되고 있다.
■ 여러 개의 논문 짜깁기, 한글 논문 영문으로 다시 내기
후보자가 통일연구원 재직시절 저술한 통일연구원 2000년 연구총서 <북한의 전략문화와 안보정책>의 경우, 안보 관련 내용(25~33p)은 같은 통일연구원 <김정일 정권의 안보딜레마와 대미·대남 정책(1997년)> 부분(8~16p/29~30p)을 미사일 관련 내용(33~41p)은 <북한의 미사일 개발 전략(1999년)>의 내용(19p, 37~40p, 49~53p)을 토씨까지 그대로 복사, 짜깁기 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북한의 전략문화와 안보정책>은 2011년 SSCI급 등재지인 ‘코리아옵저버’에 실린 <북한의 전략문화와 위협 인식>이란 제목의 영문 논문과 구성이나 내용 부분이 상당 부분 동일한 것으로 동아일보가 보도한 바 있다. 짜깁기한 논문을 10년 후에 영문판으로 다시 게재한 것이다.
■ 참고문헌을 재인용했음에도 원문을 처음 본 것처럼 인용하기
후보자의 표절 활동은 한양대 교수가 되어서도 계속 이어진다. 2003년 충남대학교 통일문제연구소 ‘한국통일연구’ 에 실은 <동아시아의 지역안보와 경제 협력> 이라는 논문은 2002.12 통일연구원에서 발간한 <동아시아의 지역협력과 한반도>라는 논문의 머리말 시작부터 맺음말까지 그 내용이 100% 같은 내용이고, 통일연구원 2002년 논문은 다시 2003년 같은 통일연구원의 연구총서 <동북아 안보경제 협력체제 형성방안>에도 표와 내용이 거의 그대로 실린 것으로 확인되었다.
■ 오래된 논문 새로운 제목을 달아 재활용하기
또 2005년 6월 통일연구원에서 발간한 <6.15 남북공동선언 재조명: 이론과 실제>는 2005년 12월 ‘한울아카데미’에서 <남북정상회담과 남북관계>라는 논문으로, 2002년 12월 ‘한국정치학회보’에 실린 <탈냉전기 안보개념의 확대와 한반도 안보 환경의 재조명>은 2010년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남북관계와 안보정책>과 국방정책연구 제26권 제1호 2010년 봄 <6.25전쟁과 한국의 안보정책: 지속과 변화>에 재활용된다.
■ 짜깁기, 표절품으로 연구비 받기, 삼탕 · 사탕하기
이어 홍 후보자는 2006년 <북한의 대남전략과 우리의 대응 방안> 보고서를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 용역보고서로 제출하고 800만원을 수령한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 용역보고서는 2003년 ‘아세아연구’에 실린 <이라크 전쟁과 한국정부의 북핵 정책> (표절부분:102~118p), 한울아카데미에서 2005년 발간한 <남북정상회담과 남북관계>(65~66p), 그리고 앞서 제기한 <북한의 남북 당국간 대화 전략: 김대중 정부 시기를 중심으로> 논문(187~193p, 193~200p)까지 각기 다른 3편의 논문을 수 십페이지씩 짜깁기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에 제출하는 보고서까지 표절품을 제출한 셈인데 더욱 기가 찬 것은 이 표절품이 2013년 국방대학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에서 발간한 <김정은 체제 대남 통일전선전술>에 그대로 다시 활용되었다는 것이다. 이 쯤 되면 원본이 무엇인지 후보자 본인 조차 헛갈리지 않을까 한다.
표절로 점철된 홍 후보자의 연구실적은 후보자가 한양대 교수가 되고, 승진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양대 교수 임용 당시 후보자의 ‘신임교원 초빙 심의서’에 따르면 심사위원들은 홍 후보자의 연구실적을 ‘우수’하다고 평가하고 있었다. 홍 후보자의 통일연구원에서의 연구실적에 후한 점수를 준 것이다.
또 조교수에서 부교수, 부교수에서 정교수로의 승진 심사평정표에도 홍 후보자의 연구실적은 각각 평가 점수 8점과 18점으로 요건점수 6점과 15점을 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위에 표절품으로 나열한 홍 후보자의 논문과 학술회의 발표자료 모두 한양대 연구실적 리스트에 포함되어있다.
신경민 의원은 “홍용표 후보자는 연구윤리가 무색하게 수 십 페이지의 내용을 토씨까지 그대로 복사하는 수준의 자기표절을 상습적으로 저지른 사람이다. 거짓으로 실적을 쌓고 그것을 토대로 전문가로 인정받아 교수가 되고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되기에 이르렀다. 남북관계 개선이라는 중차대한 임무를 맡아야 할 중책의 통일부 장관에 고작 이런 사람을 추천할 수밖에 없는 박근혜 정부의 인사풀에 다시 한 번 실망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하며 “이런 사람이 ‘신뢰’를 말하며 북한과의 협상에 나서고, 올바른 통일 정책을 수행할 수 있을지 도저히 기대할 수 없다” 며 홍 후보자의 통일부 장관 적격성에 강한 의문을 제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