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의회정보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초등학생 4.6% 난독증 위험

    • 보도일
      2015. 4. 13.
    • 구분
      국회의원
    • 기관명
      안민석 국회의원
난독증 판별도구 지난해 말 되서야 처음 개발 조기발견 중요한데 교육부 내 전담 부서조차 없어

초등학생들의 난독증 위험을 표본 조사한 결과 4.6%의 학생들이 읽기장애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교육부내에서는 난독증을 기초학력 향상업무와 함께 다루는 등 전문적으로 난독증을 전담하는 인력조차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안민석 의원(새정치민주연합, 경기 오산)이 교육부에서 제출받은‘난독증 현황파악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154개 초등학교의 초등학생 8,575명을 대상으로 표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초등학생의 4.6%(1% 난독증, 2.2%는 난독증 고위험군, 1.4%는 난독증 저위험군)에 난독증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4년 전국 초등학생 수 2,728,509명을 기준으로 약 12만 5천여명에 해당하는 수치다.

난독증이란 학습 장애 중 읽기장애를 의미하는 것으로 조기의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나 난독증을 단순 학습부진으로 오인하여 적기에 치료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지금까지는 난독증을 판별할 수 있는 도구조차 개발되지 않아 일선 학교에서 난독증 학생을 구별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했었다.

이는,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기초학력 부진학생을 지원하기 위해 단위학교별로 지정되는 두드림학교에서조차 그동안 난독증과 다른 학습장애를 구별하지 않은 채 학습 진단을 해 왔다는 의미여서 난독증 학생들이 잘못된 처방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그나마 지난해 말 교육부의 연구 용역을 통해 난독증 판별 도구가 개발되었지만 예산 등의 문제로 아직까지 이를 통한 전수조사 계획은 없는 실정이며, 향후에도 난독증 판별과 진단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수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약 5%에 해당하는 초등학생들이 난독증 위험에 처해 있는데도 당국의 대책 마련이 지나치게 미온적이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안민석 의원은 “현재 난독증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난독증 학생들이 단순한 기초학력 부진아로 취급받고 있는데도 교육부에서조차 난독증을 기초학력 향상 사업의 일환으로만 다루고 있다”며“앞으로 각 학교에서 난독증 학생들을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할 수 있는 체계가 확립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교육당국에 대책마련을 촉구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