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를 지낸 윤상현 의원이 최근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의 진실을 스스로 뒤집으며 논란을 자초하는 것은 여당 의원으로서 책임 있는 자세가 아니다.
윤상현 의원은 지난 8일 1년 간의 원내수석부대표 활동을 마치는 소회를 밝히는 기자회견에서“노대통령께서 포기란 말씀 한 번도 쓰시지 않았습니다”,“어떻게 일국의 대통령께서NLL을 포기할 수 있겠나. 국가최고통수권자가 어떻게 우리나라 영토를 포기할 수 있었겠나. 그것은 아닐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는 그동안 저를 비롯한 새정치민주연합에서 주장해온 내용과 전혀 다를 바 없는 내용이다.
하지만 윤상현 의원은 작년 한 해“북방한계선 (NLL)을 사실상 무력화하고 돌아와서는 국민에게 보고를 한 게 회의록에 담긴 본질”,“당시 노전 대통령은 김정일 위원장에게 NLL을 포기기하겠다는 취지의 말을 분명히 했다”,“대화록에 NLL 포기라는 단어는 없으나 포기의사를 밝힌 것은 사실”이라며 NLL 공세의 선봉에 섰다. 그러던 그가 약 1년 만에 180도 달라진 입장변화를 보인 것이다.
그런데 지난 11일“포기라는 단어를 안 썼지만 사실상 포기라는 입장에는 변화가 없다고 다시 한 번 밝힌다"고 또 다시 입장을 뒤집었다. 남북한 정상 간의 대화를 정쟁의 도구로 악용해 대선에 활용하고 국정원의 대화록 불법유출과 공개, 국익훼손 등을 야기한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논란과 관련해 입장 바꾸기를 반복한 것이다.
특히 윤상현 의원은 지난 8일“노무현 대통령께서는 NLL 뛰어넘고 남포에 있는 조선협력단지, 한강 하구에 이르는 큰 틀의 경제협력 사업이라는 큰 꿈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사료된다”며 노 전 대통령과 참여정부가 준비한 남북정상회담이 NLL 포기가 아니라 <남북한경제공동체 구상>을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까지 했다. 이는 결코 쉽게 넘길 일이 아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남북정상회담에서 NLL 포기와 관련해 어떠한 언급도 한 바가 없다. 지난 10월 국방부는 본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를 통해 2007년 2차 남북 국방장관 회담을 앞두고 당시 노무현 대통령이‘서해 북방한계선 (NLL) 존중 및 준수’와‘엔엘엘을 기준으로 등면적으로 공동어로수역 설정’이라는 두 가지 협상 원칙을 승인했다고 공식 확인했다. 이미 많은 국민들도 회의록에 담긴 진실을 알고 있다.
온 국민이 슬픔과 절망에 빠져있는 상황에서 또 다시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논란으로 국면전환을 시도해 보겠다는 것이 아니라면, 윤상현 의원은 왜 지난 8일 노무현 전 대통령이 NLL를 포기하지 않았다고 뒤늦게 진실을 밝혔는지 그 이유와 배경을 진지하게 설명해야 한다. 또한 윤상현 의원과 새누리당은 그동안 그러한 진실에 반해 NLL 대화록을 선거와 대야공세의 도구로 이용해온 것을 국민 앞에 사과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