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적연금강화특위 구성과 메르스대책특위 구성은 내일까지 인선을 완료하고 발표를 하겠다. 황교안 임명동의안 처리일정과 대정부질의 의사일정 합의에 대해서는 11일 오후 양당원내수석이 다시 만나 구체적으로 논의키로 하였다. 국회법 개정안과 관련해서는 현재 국회의장께서 중재안을 내고 있고, 그 중재안 수용여부를 먼저 검토키로 했다.
■ 여전히 안이한 문형표 장관, 절박한 대책만이 메르스 막는다
메르스 확진자가 87명에 이르렀고, 격리자가 2,508명이나 되는 이 상황에서도 문형표 장관은 여전히 낙관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오전에 있었던 긴급현안질의에서 메르스 사태의 심각성을 묻는 의원들의 질문에 문형표 장관은 아직 지역사회로 확산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지나친 공포심이나 과장된 경계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답변했다.
메르스 공포에 국민 모두가 발버둥치고 있는데, 정부는 여전히 천하태평이다. 세월호 사태 당시 ‘가만히 있으라’와 다를 바 없다.
정부는 첫 환자가 발생한 지난 5월 20일 이후 15일이나 지난 후에야 종합대응 컨트롤타워를 구축한 바 있다. 정부의 안이함이 메르스 사태를 키웠다는 것은 삼척동자도 다 아는 사실인데, 오늘 현안질의에서 보여준 문형표 장관의 태도를 보니 심히 우려스럽다.
메르스는 정부의 절박한 대책만이 막을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하길 바란다.
■ 메르스 사망자 수도 모른 채 대통령 감싸기에만 급급한 황교안 후보자
오늘 인사청문회에 임한 황교안 후보자를 보니 박근혜 대통령의 수호신을 자처한 듯하다. 사건 초기 정부의 무능으로 메르스 감염환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며 청와대와 정부에 대한 불신이 극에 달하고 있는 상황에도 박근혜 대통령이 ‘제 때 해야 할 일을 다 했다’고 답변했다.
또한 메르스 발생 후에도 국회법 개정안을 두고 국회 잡기에만 매몰됐던 박근혜 대통령을 두고 ‘민간 대책회의를 주재하는 등 노력하고 있다’며 대놓고 대통령 감싸기에 나섰다.
대통령 감싸는데 집중한 나머지 정작 메르스 사망자 숫자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황 후보자를 보니, 지난 1일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메르스 환자 숫자를 잘못 얘기한 박근혜 대통령과 어딘가 모르게 닮은 듯하다. 국무총리는 대통령에게 할 말은 해야 하는 자리다. 그래야 대통령의 불통논란이 줄어들고 국정이 원활해진다. 오늘 인사청문회에서 대통령 감싸기에만 급급한 황 후보자의 모습은 앞으로 대한민국에 갈 길에 대해서 심히 걱정을 끼쳐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