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3년간, 키크는 주사(소마트로핀) 처방건수, 유해사례 지속적으로 증가-
-성장 호르몬 이상 질환 치료제인 소마트로핀이 키크는 주사로 무분별하게 처방-
‘키크는 주사’로 잘 알려진 ‘소마트로핀’의 부작용 가능성이 확인되지 않았지만, 처방건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간사인 민주당 이목희(서울 금천)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소마트로핀’ 처방 총 건수는 48,021건으로 2011년 14,115건에서 2012년 21,381건, 2013년 상반기에만 12,525건으로 나타났다. 처방받은 실제 인원 또한 2011년 2,987명에서 2012년 4,200명, 2013년 상반기에만 3,927명으로 증가하였다.
‘소마트로핀’(키크는 주사)이란 소아의 성장부전 치료 및 성인의 성장호르몬 대체요법으로 사용되는 의약품으로, 소아성장호르몬결핍증, 터너증후군 염색체 이상 등 질병으로 인한 치료제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치료제의 용도뿐만 아니라, 단순 성장 발달을 목적으로 무분별하게 처방되고 있다. 그 근거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소마트로핀’의 공급금액은 68,528백만원인 반면, 건강보험공단에 청구되는 금액은 23,406백만원으로 65.8%가 비급여로 처방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소마트로핀’의 비용은 급여 시 약 240만원(본인부담금/1년기준), 비급여시 약 1,000만원(1년기준)이고, 투약기간은 치료목적으로 짧게는 6년, 길게는 10년으로 나타났다.
반면 ‘소마트로핀’의 안전성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어, 처방을 받은 환자와 부모들이 불안해 하고 있다. 지난 2010년 12월 프랑스 SAGhE(연구원 컨소시움)에서 “소마트로핀을 투약한 자가 일반인에 비해 사망률이 약 30%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라는 발표에 따라 우리나라 식약처와 유럽의약청(EMA), 미국 식약청(FDA)이 소마트로핀 사망률 위험에 대한 안전성 평가에 들어 간 바 있다.
식약처는 프랑스 연구발표 이후 각 병원에 “소마트로핀 제제 허가용량을 준수하라”는 내용의 서한을 발송했을 뿐 후속 조치는 취하지 않고 있다. 유럽의약청과, 미국 식약청에서 ‘소마트로핀’의 안정성 여부에 대해 역학 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나, 우리 정부당국은 안전성을 검증할 역학조사도 진행하지 않고 있으며, 호르몬 장애가 있는 환자에게만 처방하는 등의 안전 조치 역시 취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도 ‘키크는 주사’의 유해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2008년에 2건이던 것이 2013.9월 67건으로 보고되었다. 유해 사례로는 발진, 척추기형, 시각이상, 사경 등으로 나타났다.
현재와 같이 ‘소마트로핀’이 ‘키크는 주사’로 남용될 경우, 처방받는 대상의 90%가 20세 미만 성장기 청소년과 아동들이 부작용에 그대로 노출될 수도 있다.
키 작은 사람이 ‘루저’로 불리는 바람직하지 못한 한국 현실에서 아이의 키를 위해 어쩔 수 없이 큰 비용을 들여 ‘키크는 주사’ 맞히고 있는 부모들 입장에서는 엄청난 비용과 함께 부작용에 대한 불안감으로 이중고를 호소하고 있다.
이목희 의원은 “호르몬 이상 치료제를 ‘키크는 주사’로 남용하는 것은 분명히 문제이다. 그러나 외모를 중시하는 우리 문화상 수요를 없앨 수는 없다는 점은 잘 이해하고 있다. 그렇다고 이것이 의사들의 돈벌이 수단으로 전락해서는 절대 안 된다.”고 말했다.
또한, “지금도 매년 1~2만명의 청소년과 그 부모들이 치료목적 또는 상대적으로 작은 키에 대한 컴플렉스에 어쩔 수 없이‘키크는 주사’를 맞히면서도 부작용 때문에 걱정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2010년 서한 발송 이후 지금까지 특별한 후속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며 “ 해외와 달리, 정상인이 ‘키크는 주사’로 처방받고 있는 우리나라만의 현실을 감안한 역학조사를 조속히 추진하고, 지나치게 남용되는 것 역시 규제 방법을 만들어야 할 것”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