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9세 학령기 아동 정신질환 급증 2010년 20만2,605명에서 2012년 29만9,033명으로 47.6%급증-
-전국 17개 광역시도(2012년) 중 서울 100명중 3.6명으로 가장 높아-
-시군구(2012년기준)는 송파구,강남구,성남시 분당구 순으로 높고, 경남사천시,진도군,의령군 순으로 낮아-
학령기 아동의 정신질환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민주당 간사인 이목희 의원(서울 금천)이 최근 건강보험공단으로 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2년 기준, 전국 학령기 아동의 인구수는 1,077만여명으로 이 중 정신질환으로 의료기관에서 진료 받은 인원은 29만9,033명으로 학령기아동 100명당 2.8명이 정신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0년부터 2012년까지 7~19세 학령기 아동이 정신질환으로 의료기관을 찾은 수를 비교한 결과 2010년 20만2,605명에서 2012년 29만9,033명으로 47.6% 급증하였다.
전국 17개 광역시도별(2012년)로 보면 서울이 학령기 아동 100명중 3.6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부산이 3.1명, 경기 2.9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학령기 아동의 정신질환비율을 시군구(2012년 기준)로 비교한 결과 송파구(4.8명)-강남구(4.6명)-성남시 분당구(4.6명) 순으로 높고, 경남 사천시(1.4명)-진도군(1.5명)-의경군(1.5명)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아동 정신질환이 가장 높은 서울 송파구는 가장 낮은 사천시에 비해 3.4배 높게 나타났다. 이는 재정자립도가 높고, 부모들의 학구열이 높은 서울 등 수도권의 학령기 아동의 정신질환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편 서울 8개지역 학령기 아동 100명당 정신질환 진료인원은 재정자립도 상위 4개 지역인 송파구(4.8)-강남구(4.6명)-서초구(4.2명)-중구(3.9명)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재정자립도 하위 4개 지역인 관악구(3.5명)-중랑구(3.5명)-강북구(3.8명)-노원구(4.0명)의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목희의원은 “재정자립도가 높고 부모들의 학구열이 높을수록 정신질환 아동 수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학생들의 과도한 학업부담과 입시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