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대학구조개혁평가 공정하게 이뤄졌나? - 국정감사 자료요구에는 비공개, 실제 평가 대학의 총장에게는 전화로 공개 의혹 - ‘로비’로 바꿀 수 있는 대학구조개혁평가 내용이 과연 합당한 것인가?
2. 현장 밀착적이지 못 한 성교육 표준안 - 의무화된 커리큘럼에도 불구 형식적 성교육 여전 - 많은 시간과 예산을 들인 표준안의 내용에 대한 논의 자체가 보여주기식 행정 증명
3. 실효성 없는 ‘교원지위향상을 위한 특별법’ - 교장의 재량에 중점을 둔 “교원지위향상을 위한 특별법” - 강제성 없는 개정안은 또 다른 피해자를 발생시킬 뿐
4. 외국인 마약사범에게 배우는 외국어강의 - 해마다 늘어나고 있는 외국인 마약 사범... - 마약사범 외국인 강사중 10명중 8명꼴로 어학원, 학원영어강사..
5. 2015 개정 교육과정, 수능 가이드라인 잡아야 - 졸속 개정 논란 속에서 내실 없는 교과서 개발 지양해야 - 최소한의 수능 가이드라인 제시해야 교육 당사자인 학생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을 것
6. 학교스포츠클럽 시간 축소 ‘시대흐름에 역행하는 처사’ - 학교스포츠활동 교육성과분석 결과 높게 나와도 현장의 목소리 제대로 반영하지 못함. - 청소년 비만 예방, 우울증 방지를 위해 학교스포츠클럽 시간 현행 유지 - 학교폭력예방, 학업스트레스 예방, 신체정서건강 등 만족도 조사 높게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