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의회정보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외주용역직원 방사선 피폭선량, 정직원 10배

    • 보도일
      2015. 9. 11.
    • 구분
      국회의원
    • 기관명
      우상호 국회의원
피폭의 외주화, 전문성 요하는 업무에 외주비율 52%
우상호 의원 “협력업체 직원들, 아침마다 목숨 걸고 출근했을 것”

한국수력원자력(주)(이하 한수원)와 한전KPS(주)(이하 한전KPS)가 주도하는 원자로 설비 성능 향상 정기 점검에서 정직원에 비해 외주 직원들의 피폭선량이 10배나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우상호 의원(새정치민주연합, 서대문갑)이 원자력안전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5년 한수원과 한전KPS가 고도의 전문성을 요구하는 계획예방정비 당시 총 투입인력 60만5,887명 가운데 52%에 해당하는 31만3,999명을 외주용역으로 충당했다.

문제는 협력업체 외주용역 직원들의 피폭량이 정직원에 비해 2014년에는 6.68배 많았고, 2015년에는 무려 10.42배나 많은 것으로 나타나 무리한 비용절감과 사고로부터의 면책을 위해 유해한 위험작업을 외주화 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사고 있다.

게다가 동 사업 관리감독을 맡고 있는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이러한 사실을 전혀 인지하고 있지도 못할 뿐만 아니라 동 사업에 대한 결과보고서도 한수원으로부터 보고받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우상호 의원은 “고도의 전문성을 요하는 사업에 지나친 외주비율은 자칫 관리 소홀에 따른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라고 지적하며 “게다가 ‘위험의 외주화’를 넘어 ‘피폭의 외주화’가 행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협력업체 직원들은 목숨을 걸고 매일 아침 원자로에 몸을 맡기고 있다.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즉각적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우 의원은 “이러한 문제들은 모두 원자력안전위원회의 허술한 관리감독에서 비롯됐다고 할 것이다. 수천억원의 혈세를 쏟아 부어 실행하는 사업의 결과보고서를 원자력안전위원회가 검토조차 하지 않았다. 시스템 점검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