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의회정보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부처 간 떠넘기기로 방치되는 해상위험유해물질

    • 보도일
      2015. 9. 18.
    • 구분
      국회의원
    • 기관명
      김승남 국회의원
- 독성 및 유해성 지닌 위험유해물질, 연간 2억 5천톤 이상 해상 이동
- 국민안전처, 해수부, 환경부, 해양환경관리공단 관련 현황파악조차 못하고 떠넘기기에 급급
- 해상위험유해물질 사고 대응체계 매뉴얼 부재 및 열악한 장비인력 문제 등 개선되어야

□ 김승남의원(새정치민주연합, 전남 고흥·보성)은 9월 18일(금) 국회에서 열린 농해수위 해양환경관리공단 국정감사에서 위험유해물질(HNS: 유류를 제외한 인, 황산, 벤젠, 인산, 질산 등) 운반선의 물동량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대형 유출사고의 위험이 증대되고 있으나, 정부의 해상 방제시스템이 기름유출사고 위주로 국한되어 있음을 지적하고, 위험유해물질 사고를 대비해 교육훈련 및 현장 대응 전문가 양성 체계를 구축할 것을 촉구하였다.

□ 국가에서 지정한 위험유해물질은 총 68종이며, 주요 물질은 인․황산․벤젠 등이 있다. 이 물질들은 독성 및 유해성이 있어 사고 발생시 인체 및 환경에 치명적이며 일부 물질은 짧은 시간에 넓은 지역까지의 오염이 우려된다. 국내 항만별 HNS를 취급하는 업체는 대략 58개로 울산항이 가장 많은 물동량을 보이고, 여수, 태안 순으로 나타났다. 위험유해물질 해상 물동량이 전체 물동량의 18% 이상을 차지하면서, 대형 유출사고 위험이 증대되고 있다.

「이하 생략」
※첨부파일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