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의회정보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시민 2/3가 찬성하니 전자보험증 추진하자? 설문시민 33명 불과 입찰자격 의무인 사회정책 전문가 하나 없는 자격미달 연구용역

    • 보도일
      2015. 9. 22.
    • 구분
      국회의원
    • 기관명
      김성주 국회의원
건강보험․사회복지의 관점에서 전자보험증의 유용성․비용 분석해야

건강보험공단이 추진 중인 전자건강보험증 연구용역을 맡은 IT기업인 K업체. 하지만 수십명밖에 안되는 설문조사로 전자보험증 추진 여론이 높다고 호도하고, 공단의 입찰자격 조건을 무시한 연구진 구성으로 졸속으로 부실하게 연구했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김성주 의원은 건강보험공단이 역점적으로 추진 중인 전자건강보험증 연구용역 사업을 수탁받은 IT기업 K업체의 중간결과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소수의 설문조사 인원을 명분으로 전자보험증에 대한 찬성 여론이 높다고 부정확한 정보를 제공했고, 입찰자격 조건으로 명시된 사회복지․사회정책 전문가가 단 한 명도 연구진에 포함되지 않아 졸속, 부실 연구용역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게다가 K업체는 약속된 기한 내에 연구도 마치지 못해 연구기간마저 연장한 것으로 드러났다.

K업체가 지난 6월 건보공단에 보고한 연구용역 중간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전자보험증 도입에 대한 ‘국내 설문조사 결과 분석’을 보고하면서, 전자보험증 도입에 찬성하는 일반시민과 의료기관 종사자가 훨씬 많다고 공단 간부들에게 보고했다. 그러나 설문조사에 참여한 일반시민은 33명, 의료기관 종사자는 27명에 불과했다. 보다 정확한 여론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표본 추출과 충분한 샘플이 있어야 함에도 자의적인 설문대상 선정 및 설문지 설계로 국민이 마치 전자보험증에 찬성하는 것 같은 결론을 도출한 것은 문제라는 지적이다.

「이하 생략」
※첨부파일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