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연구원의 40%가 비정규직, 몇 년 째 개선되지 않고 있어 비정규직 연구원들의 높은 이직율, 정규직 보다 5~6배나 높아
정부출연 연구기관 연구원 중 비정규직 비율이 40%나 되지만 몇 년 째 개선되지 않고 있으며, 이들 비정규직 연구원들의 이직율이 정규직에 비해 5-6배나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같은 사실은 국회 정무위원회 김영환의원이 국무총리실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경인사연)로부터 제출 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밝혀졌다. 경인사연에는 한국개발연구원, 산업연구원 등 26개 정부출연 연구기관이 소속해 있다.
이들 연구기관에는 2013년에 정규직과 비정규직을 합한 총 3,693명의 연구원 중 비정규직 연구원이 1,475명으로 39.9%를 차지했다. 2014년에는 39%, 2015년 8월 현재도 39%로서 몇 년 째 비정규직 비율이 줄어들지 않고 있다.(*아래 표 참조)
※ 표 : 첨부파일 참조
한편 비정규직 연구원들은 정규직에 비해 이직율이 5~6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6개 연구기관 전체적으로 2013년에는 정규직 이직율이 5%인데 비해 비정규직 연구원 이직율은 25.9%로 5.2배가 되었고, 이 비율이 2014년에는 6.3배, 2015년 8월 현재는 3.8배나 된다.(*아래 표 참조)
※ 표 : 첨부파일 참조 심지어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경우 비정규직 총원이 28명인데 이직자는 34명이나 되고,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비정규직 총원 29명에 이직자가 44명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관에서는 비정규직이 1년에 몇 번씩 입사와 퇴사를 거듭한 결과 이직자가 총원 보다 많은 기현상까지 낳고 있는 것이다.
비정규직 연구원들의 이직율이 이렇게 높은 이유에 대해 경인사연측은 3~6개월 단위 연구과제 수행을 위한 단기계약자들이 많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김영환의원은 “비정규직은 정규직에 비해 보수와 승진, 복리후생 등에서 열악한 대우를 받기 때문에 이직율이 높을 수밖에 없다” 면서,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연구성과를 축적하기 위해서는 이직율이 높은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데 더욱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