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이 지난해 시범 사업 격으로 눈 표면상에 레이저를 발사해 적설량을 측정하는 레이저 적설 관측 장비를 도입 한 후 제대로 된 모니터링을 실시하지도 않은 채 해당 장비의 확대 구입을 진행하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주영순의원은 19(월)일 기상청에서 제출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기상청이 지난해 새롭게 도입한 레이저 적설 장비에 대한 모니터링을 부실하게 실시하고도 장비 구매 적합 판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겨울이 되기 전 장비를 설치해야하지만 레이저 적설계의 경우 올해 2월이 돼서야 장비를 설치해 부실한 모니터링이 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뿐만 아니라 기상청의 자체 시범운영 결과 보고서에도 비교 관측 자료가 미흡하다고 전문 자문위원들이 평가한 바 있다.
기상청은 장비 도입 과정에서 생기는 문제를 해결한다며 레이저 적설장비의 경우 5대만 우선 설치하고 이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를 분석해 적합성을 판단한다는 계획이었지만, 제대로 된 모니터링 없이 실내 성능 테스트만으로 적합 판정을 내려 올해 8억8천만원을 들여 50대로 확대 구입을 진행 중이고 내년에는 확대 규모를 70대로 늘릴 계획이다.
문제는 이렇듯 부실한 모니터링 결과로 인한 잘못된 장비 구입이 과거에도 반복 되어왔다는 점이다.
기상청은 자동적설관측망 구축을 목표로 적합 장비에 대한 사전 검토를 시행해 초음파 적설계가 적합하다는 판단을 내린 후 2005년부터 15억원을 들여 총 73대의 초음파적설계를 도입했다.
하지만 해당 장비는 다설지역에 적합한 장비로 눈이 내린 후 2cm가 쌓이기 전까지는 제대로 된 측정이 불가능해 소설 지역인 국내에는 적합하지 않다. 때문에 해당 장비는 현재 참고용으로만 사용하고 있는 실정으로 기상청은 이로 인해 생긴 관측 공백을 최소화한다는 명목으로 이후 적설관측 CCTV 111대를 급하게 사들였다.
주영순 의원은 “기상청이 이번에도 제대로 된 사전 검토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장비 구입의 확대를 결정 했다”며“밑 빠진 독에 물 붓기 식으로 장비를 구입 할 게 아니라 우리 기상 현실에 적합한지에 대한 검토가 철저히 이뤄져야만 예산 낭비를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