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의회정보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포털의 편향과 독과점문제 관련한 새누리당 긴급토론회와 국회 정무위국감 있었던 지난 9월 16일과 17일 이틀 간

    • 보도일
      2015. 10. 23.
    • 구분
      국회의원
    • 기관명
      이상일 국회의원
다음과 네이버가 올린 주요기사 총 514건 중 포털 관련 기사는 단 1건도 배치 안해
- 의원실에서 다음의 ‘뉴스통계’와 네이버의 ‘주요뉴스이력’ 통해 직접 확인한 결과
   이틀간 다음에선 정치관련 기사 총 180건, 네이버에선 전체 기사 총 334건을
   뉴스박스와 주요뉴스에 배치해 노출했지만 그 중 포털 관련 기사는 단 1건도 없어.
   포털 검색창에 ‘포털 토론회’치면 수백 건의 관련 기사 떠. 이용자가 직접 검색해야
   포털 토론회와 포털의 독과점 문제 제기되었던 관련 뉴스 볼 수 있어
- 네이버의 경우, 메인 검색창에 ‘포털’치면 ‘연관검색어’로 ‘포털 편향’이나 ‘포털 토론회’
   안떠. 네이버에게 유리해 보이는 ‘포털 규제’만 보여. ‘포털 편’까지 입력해도 안떠
   다음은 메인 검색창에 ‘포털’ 입력하면 ‘포털 편향’ 등 관련 연관검색어 보여줘

<질의사항>

이병기 비서실장께 질의하겠음.

지난 9월 한 언론사(조선일보)는 ‘네이버와 다음 등 포털이 국정감사 기간 동안 수차례 제기된 포털 뉴스 서비스의 불공정·편향성에 대한 비판적 기사를 단 한 번도 뉴스 메인 페이지에 게재하지 않았다’고 보도함. 지난 9월 3일부터 20일까지 총 18일간 네이버와 다음의 모바일 뉴스 메인 페이지에 올라온 기사 1만3,698건을 전수조사 한 결과, 포털 뉴스 서비스의 불공정·편향성에 대해 보도하지 않았다고 함.

   이 기간에 국회 국정감사에서 포털뉴스의 편향성에 대한 비판과 공방이 연일 벌어지면서 주요언론에 비중 있게 다뤄졌던 것과 다르다며, 이 기사들은 메인 페이지에 게재되지 않아서 이용자가 직접 검색을 해야만 찾아볼 수 있다고 함. 이런 문제제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의원실에서도 포털의 편향성에 대해 직접 파악해봤음.
   새누리당은 지난 9월 16일 다음 등 포털 사이트 뉴스게재의 공정성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긴급정책토론회’를 개최함. 당시 토론회에 참석한 김무성 대표님을 비롯한 새누리당 의원들이 축사로 포털뉴스의 공정성에 대한 비판 여론을 언급하면서 대책을 모색해야 한다고 하면서 많은 언론에서 관련 기사를 냈음.

   포털 다음에서 ‘포털 토론회’라고 직접 검색해보면 16일 날 보도된 수백 건의 관련 기사를 찾을 수 있음. 문제는 포털 다음의 메인 홈페이지엔 전혀 노출되지 않았다는 것임. 다음은 메인화면에서 매일 실시간으로 ‘뉴스박스’에 기사를 노출하고, 이 기사를 ‘뉴스통계’에 날짜별로 모아 놓고 있음. 9월 16일 ‘뉴스통계’에서 ‘정치섹션’을 확인해 보면 총 84건의 기사가 있었지만, ‘새누리당 토론회 개최’ 등 포털 관련 기사는 단 1건도 없었음.

   국회 정무위원회의 국정감사가 있었던 9월 17일도 마찬가지임. 당시 정무위 여당위원들은 포털의 독과점과 불공정행위 문제 등을 집중적으로 제기했고, 정재찬 공정거래위원장이 “시장점유율 수치 자체로만 보면 독과점으로 볼 수 있다”고 답변하면서 이슈가 되었음. 하지만 9월17일도 다음의 ‘뉴스통계’의 ‘정치섹션’을 확인한 결과, 당일 ‘뉴스박스’에 노출된 정치 관련 총 96건의 뉴스 중 포털 관련 기사는 단 1건도 없었음. 정무위 국감 기사로는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과 관련된 것만 찾아볼 수 있었음.

   포털 네이버도 다음과 마찬가지임. 9월 16일과 9월 17일 주요뉴스 이력을 보면, 이틀간 각각 170건과 164건 등 총 334건의 기사가 있었지만 포털 관련 뉴스는 단 1건도 없었음. 포털이 자의적으로 기사를 취사선택 한다는 의심을 사기 충분한 대목임.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지난 대선 당시 네이버나 다음의 ‘연관검색어’ 기능이 문제가 된 바 있음. 특정 후보에게 불리한 연관단어가 나왔다는 것임. 하지만 당시

   네이버는 ‘연관검색어’ 대해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음. 사람들이 많이 찾는 검색어끼리 엮어서 보여주는 ‘연관검색어’에 손을 대는 것이 여론을 조작하는 것이란 입장이었음.

   의원실에서 직접 네이버의 ‘연관검색어’를 확인해 봄. 다음의 경우 메인 검색창에 ‘포털’을 입력하면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포털 편향’과 ‘포털 토론회’가 상단은 아니지만 중간쯤에 뜨고 있음. 하지만 네이버의 경우 메인 검색창에 ‘포털’을 입력해도 ‘포털편향’이나 ‘포털 토론회’란 연관검색어는 찾을 수 없음. 대신 네이버 등 포털이 규제를 당하는 듯한 ‘포털규제’가 뜨고 있음. 검색창에 ‘포털 편’까지 입력해도 ‘포털 편향’은 뜨지 않음. 이와 달리 같은 검색창에 ‘한국사 국’을 치면 ‘연관검색어’로 ‘한국사 국정화’와 관련된 검색어들이 뜨고 있음.

   포털의 메인 검색창에 ‘포털’을 입력하면, 이용자가 한눈에 이슈를 알 수 있도록 보여주는 ‘포털 편향’이나 ‘포털 토론회’란 검색어가 다음엔 나타나지만, 네이버엔 없는 것임. 결국 이용자는 ‘포털 편향’이란 단어를 알아야만 검색을 해서 관련 기사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임.  네이버의 검색점유율은 70%에 달함. 네이버는 지적에 대해 연관검색어 시스템은 인위적으로 손대지 않는다고 했지만, 누가 봐도 이상하다고 생각할 것임.

많은 국민들이 네이버나 다음 같은 포털 서비스를 통해 뉴스를 접하고 검색을 하고 있음. 사실상 포털이 언론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님. 최근 ‘시사저널’이 각계 전문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5 누가 한국을 움직이는가>조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언론매체’부문 가장영향력 있는 언론매체 순위 – 1위: KBS(55.8%), 2위: 조선일보(41.0%), 3위: 네이버(30.1%), 4위: MBC(18.8%), 5위: JTBC(15.8%)에서 네이버는 3위(30.1%)를 차지함. 포털사들은 검색회사라고 주장하지만, 이제는 포털의 편향성에 대해 적극 공론화하고 이를 적절히 규제하기 위한 법률 제정도 검토할 필요가 있음. 정부에서도 보다 적극적인 관심을 기울여 주시길 바람.

「이하 생략」
※첨부파일 참조